경사교수도감의 기능은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경사교수도감이 하는 역할은 어떤 것이었나요? 경사도수도감을 설치한 사람은 누구이며 그 실태는 어떠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 후기 유학의 진흥업무를 관장하던 임시 관서 입니다.
고려시대 문관등용의 정도로서 제술과와 명경과가 있었으나 당시 문벌귀족들이 경학보다 한문학을 숭상함에 따라 제술과를 더 중요시해 자연 유학자들도 과거 위주의 시, 문에만 몰두합니다.
이것이 고려 후기에도 계속되자 1280년 충렬왕은 경, 사에 능한 선유 7인을 골라 경사교수에 임명, 국자감에 소속시켜 학생들에게 셩, 사만을 전문적으로 가르치게 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경사 교수 도감은 고려 후기 유학의 진흥업무를 관장하던 임시관서 입니다. 주자학의 전래에 따른 유학연구의 필요성이 절실함에도 불구하고 시문 위주의 학풍이 개선되지 못하였습니다. 따라서, 1296년 독립적인 특수관청으로 경사교수도감을 설치하여 보다 적극적인 유학진흥을 꾀하였습니다. 직제 및 그 운영은, 명유 2인을 택하여 경사교수도감사(經史敎授都監使)로 , 즉 유학 강사로 삼아 7품 이하의 관원에게 경서와 사서(史書)를 가르치게 하였습니다. 더욱이 우리나라 최초의 주자학자인 안향(安珦)은 유학진흥을 위한 장학기금인 양현고(養賢庫)의 섬학전(贍學錢)을 마련할 때, 경사교수도감 2인을 추천함으로써 일반관료뿐 아니라, 7재(七齋) 및 사학 12도(徒)의 학생들까지도 경서연구에 전념하게 하였지요. 이는 당시 주자학 도입에 따른 경전연구가 경사교수도감을 중심으로 활발히 추진되었음을 보여주는 실례라고 할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