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무는 두돌아기 어떻게 해야하나요?
26개월 아이를 키우고있습니다 요즘들어 기분좋을때 한번씩 저를 깨물어서 훈육하려고 잡고 단호하게 안된다고 했는데 듣지도않고 웃기만하고 소용이없다 싶더니 오늘은 어린이집에서 장난감가지고 싸우다가 친구를 물었다고 하는데 도데체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네요ㅠ 훈육방법이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훈육방식이 잘못 되어서 그렇습니다.
단호하게 말을 어떻게, 어떤 모션으로 아이에게 말을 전달했는지에 따라 훈육이 잘 되고, 잘 안되어지는 것입니다.
아이가 깨물었다면 아이를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하게 굵은 목소리로 "깨무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깨무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부드럽게 알려주도록 하세요.
한 번의 훈육으로 아이의 행동은 나아지지 않습니다. 아이의 행동에 변화가 보일 때 까지 자주 반복적으로 설명을 해주면서 아이의 행동을 지도하여 주도록 하세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보육교사입니다.
깨무는 행동에 대해 짧고 단호하게 이야기해주시고 다른 표현방법을 했을 경우 칭찬과 반응을 보여주시며 일관성있는 태도로
교육해주신다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드라마틱하게 바로 고쳐지지는 않을 수 있으나 시간을 갖고 일관적으로 이야기해주신다면 그러한 행동을 줄여나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구강기를 거쳐서 성장을 합니다. 따라서 아이들의 2돌이나 3돌정도가 되어도 아직 이런 본능은 남아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되면 아이들의 경우에는 자기가 하고 싶은것을 제대로 하지 못하거나 너무 흥분하는등 특정한 시기가 오게 되면 자기도 모르게 깨물게 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평상시에 아이들에게 깨무는것은 위험하다고 계속해서 교육을 해주시는게 중요하다고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두 돌 아이가 꺠무는 행동은 단순히 스트레스나 주의끌기 등일 수 있습니다. 깨물면 안된다고 말하고 즉시 다른 활동으로 관심을 돌려주세요.긍정적인 행동을 보였을 떄 칭찬과 보상을 통해 올바른 행동을 강화하세요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깨무는 둘돌아기가 있다면 먼저 아이의 감정을 이해해주고 공감해주는것이 필요합니다. 깨무는 이유는 스트레스와 좌절, 주의끌기 등으로 아이의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도와주세요. 깨물었을때는 안된다고 단호히 말하세요
안녕하세요.
26개월 아이가 다른 사람을 깨무는 건 발달단계에서 일어날 수 있는 증상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아직 언어 능력이 충분히 발달되지 않은 시기에서 감정이나 욕구를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보입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깨무는 행동 대신에 물건을 꽉 쥐는 등 대신 할 수 있는 행동을 알려주고, 깨무는 행동에 대해서 직관적이고 일관된 반응과 지도를 보이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두 돌 아기가 깨무는 행동은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발달 과정 중 하나이지만,
부모님이나 보호자가 대처 방법을 잘 모르는 경우에는 문제가 될 수도 있습니다.
아이가 깨무는 행동을 할 때마다 그 이유를 파악하고 적절한 대응을 해주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장난감을 가지고 놀고 싶어하는데 부모님이 이를 무시하면 깨물 수 있습니다. 이때는 아이에게 장난감을 주거나 함께 놀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깨물기 전에 미리 예방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깨물기 쉬운 물건이나 음식을 주지 않거나, 아이가 깨물려고 하는 상황에서는 몸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깨문 후에는 즉시 대처해야 합니다. 아이에게 왜 깨물었는지 물어보고, 잘못된 행동이라는 것을 알려줘야 합니다. 또한, 아이가 깨문 부위를 아프거나 따갑게 만지지 않고 부드럽게 다루어야 합니다.놀이를 통해 깨무는 습관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블록 쌓기나 퍼즐 맞추기 등의 놀이를 하면서 아이가 집중력을 높이고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훈육을 하여도 아이가 말을 듣지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이야기를 해야 합니다. 아이가 두 돌쯤이라면 의사표현도 제대로 안되고 자신의 욕구나 감정이 표출시키는 요령이 없어서 그럴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깨무는걸 놀이의 일부로 생각할 가능성이 높기에 너무 크게 리액션해주지 마시고 단호한 어조로 안된다고 제지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깨물 때 즉시 안돼라고 단호하게 말하고 아기를 잠시 떨어뜨리세요. 또한 감정을 표현할 다른 방법을 가르쳐 주세요. 마지막으로 아기가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을 이해하고, 긍정적 감정 표현을 격려하세요.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26개월의 아이의 행동을 다르는 것 쉽지 않습니다. 우선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야 합니다. 예를 들어, 감정 카드를 사용해 기분을 표현하게 하거나, '무서운 감정은 말로 표현하자'고 설명해 주세요. 장난감 문제는 공유와 협력의 중요성을 설명하면서 같이 해결 방법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긍정적인 행동을 칭찬하고, 규칙을 일관되게 적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