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임금·급여

노란아나콘다159
노란아나콘다159

최저임금에 위반이 아닌지 궁금합니다

직원이 12월22일까지 근무하고 퇴사했는데 회사사유로 30일로 퇴사처리를 하려고합니다 그래서 30일급여계산후 초과8일분에대한급여를 공제로 차감하고 지급하려고 하는데 이럴땐 최저임금에 걸릴지 궁금합니다


230만원 / 31 × 30 = 2,225,810 - 8일치 593,540=

1,632,270원 세전 일때 어떤가요?

230만원은기본급과 식대비과세로 구성되어있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월 근무일수와 관계없이 매월 고정적인 임금을 지급받는 월급제 근로자라면 "월급여÷31일×22일"로 일할계산하여 지급하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초과 8일분이 뭔지를 설명해주셔야 답변이 가능하죠. 연차를 초과로 사용한 것이라면 차감 가능하고 차감 전 임금이 최저임금 이상이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백승재 노무사입니다.

      그렇게 일할계산해서 공제하면 문제없습니다.

      일한만큼 지급한 것이므로 최저임금법 위반이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

      근로자의 근로시간 및 근로일을 알 수 없어 최저임금 계산이 어려우나, 기본급이 230만원이라면 일할계산 하여도 최저임금 미달은 아닐 것으로 추정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원래대로 일할계산을 하더라도 2,300,000 X 22 / 31로 계산하여 1,632,258원이 되므로 적어주신 금액을 지급한다면

      법상 문제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인도 노무사입니다.

      30일급여계산후 초과8일분에대한급여를 공제로 차감하고 지급하려고 하는데 이럴땐 최저임금에 걸릴지 궁금합니다

      → 중도퇴사자의 경우 위와 같이 초과지급분까지 함께 공제하는 것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