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덕망있는애벌래281
덕망있는애벌래28123.03.26

첫 영어공부 시기가 궁금해요!!

이제 초1이된 아이입니다

방과후로 놀이영어 신청해서 수업을 시작했어요

그런데 알파벳 적는 숙제를 하면서 이 종이를 구기고 싶다느니

왜 영어신청했냐며 매일 투정입니다.

한글도 7살 후반에 공부방에서 겨우 뗀 아이인지라

영어학원을 보내기엔 아직 준비가 안된거 같아 방과후로 그냥 접촉이라도 시켜줄겸 해서 한건데....

이런 아이는 언제쯤 영어를 하는게 맞을까요 ??

아예 안 시킬수도 없고 고민이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26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방과후 영어를 부담스러워해서 걱정이 되겠습니다.

    초등학교 3학년이 되면 교과목에 영어가 있습니다.

    영어도 다른나라의 언어이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꾸준히 노출시켜주는게 효과가 있습니다.

    영어 음원을 이용해서 놀이시간에 들을 수 있도록 틀어주고

    애니메이션도 언어를 영어로 설정해서 들려주면 일상생활에서 꾸준히 노출시킬 수 있게 됩니다.

    아이가 알파벳을 쓰고 하는 것을 부담스러워한다면

    관심을 가질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있겠습니다.

    저희 아이들은 4~5세 때부터 아이 엄마가 위와 같은 방법으로 노출시켜준 결과 현재 초3, 초4학년인데

    확실히 듣는 귀가 트이더라고요. 또한 외국 사람을 만나도 서슴없이 대화를 시도하려고 하더라고요.


  • 안녕하세요. 권미정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영어 학습의 시작 시기는 4-6세 정도이지만, 이미 영어학원에서 수업을 듣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미 시작하셨네요. 그러나 아이가 아직 한글을 공부하는 단계이고, 영어 공부에 흥미를 갖지 못하는 것으로 보아 영어 공부는 아직 어려운 단계일 수 있습니다.

    그래도, 아이의 개인적인 성향과 호기심을 고려하여 영어공부를 추진하는 것도 좋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영어 노래나 영어 동화를 통해 언어적인 지식을 즐겁게 배울 수 있도록 하거나, 영어를 놀이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교구나 게임을 활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그러나, 아이의 성향과 관심에 맞게 접근해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영어를 강제로 학습하게 되면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아이의 관심을 끌 수 있는 방법을 찾아 접근하며, 단계적으로 학습 내용을 증가시켜 나가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영어를 교육하는 시기는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어린 시기일수록 아이가 자연스럽게 영어를 배울수 있고 부담감이

    없어 학습 또한 빨라집니다. 다만 아이가 언어를 배움에 있어 한글과

    혼동을 느끼는 경우 잠시 중단하시는 것이 아이가 혼란스럽지 않을 것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아직은 영어 공부를 할 시기가 아닌 것 같아요.

    아이가 스트레스를 받아가면서까지 영어 공부를 하게 되면, 아이에겐 큰 스트레스로 다가올 수 있으니,

    방과후 수업이나, 학원 보다는 영어영상으로 먼저 시작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지금 아이는 영어 공부의 흥미와 관심이 없다 라는 것입니다.

    영어공부를 시작은 보통 6~7살 부터 시작합니다.

    아이가 한글을 마스트를 하고 나면 영어공부를 시작할 수 있는데요.

    공부의 효과를 보시려면 아이가 그 학습에 관심을 보이고 흥미를 보여야지 학습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라는 것입니다.

    또한 학원수강 신청 역시도 그 결정과 선택권은 아이에게 있다 라는 사실을 인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관심을 가지고 흥미를 보이는 것을 가르치는 것이 아이의 학습의 효과를 더 높일 수 있습니다.

    아이가 원하지도 않은 학습을 강요한다면 아이는 스트레스만 받을 뿐이며 학습의 효과는 더욱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