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기발한파리23
기발한파리2323.10.31

엔론 파산 사태의 원인과 결과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책을 읽다가 엔론 파산 사태에 관한 내용이 나오더군요. 역사상 최대 분식회계 사건으로 20년전 사건으로 보이는데 해당 사태의 원인과 결과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엔론은 텍사스 주 휴스턴에 본사를 둔 에너지회사였고

    높은 매출성장과 이익을 회계조작을 하였고

    광케이블망 구축 등 정보통신 분야에 투자를 하였으나

    실패로 인하여 손실이 엄청나 파산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엔론 사태의 원인은 비윤리적인 분식 회계 입니다. 엔론은 1985년에 창립되어 2007년에 파산한 미국의 천연 가스 기업인데 고정 자산은 늘어 나는데 항상 회사의 현금은 부족 했고 결국 불법 장부 기입이 가시화 되었고 결국 파산 하게 된 기업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엔론은 혁신기업으로 주목을 받았으나 엔론의 실제 매출과 이익은 회계조작으로 이루어진 것이 확인되었고 무분별한 M&A로 인해서 자금이 부족해졌고 투자에 따른 실패로 인해서 파산하게 이르렀어요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엔론은 대규모 인수합병 시에 필요한 자금을 외부로부터 조달받았는데, 이 때, 분식회계를 통해 투자자들을 속인 후 시장의 예상치를 뛰어넘는 업적을 발표하는 형식으로 주가를 끌어올리는 방식을 이용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엔론이 파산 이후, 회계에 대해 엄격 기준이 적요외었으며, 기업 가치 평가 역시 달라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엔론이 회계부정을 한 게 핵심 원인이고, 이를 제대로 회계감사 하지 못한 결과로 빚어진 사실상 최고의 회계 스캔들로써, 엔론을 감사했던 아서 앤더슨(당시 소위 BIG.5 회계법인 중 하나)이 하루 아침에 문을 닫을 정도로 파급효과가 컸던 사건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001년 말, 엔론의 부실한 재정상태가 일상적이며 체계적이고도 치밀하게 계획된 방식의 회계부정으로 은폐되어 왔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이것이 잘 알려진 엔론 사태이다. 이 때부터 엔론은 계획적인 기업 사기 및 비리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게 되었다. 이 사태는 미국내 여러 회사들의 회계 상태와 관련 활동들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2002년 기업에 대한 회계 사베인즈옥슬리 법안(Sarbanes–Oxley Act)의 제정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또한 엔론의 회계감사를 담당했던 미국의 거대 회계법인이었던 아서앤더슨이 해체되는 결과를 낳으면서 업계 전반에 걸쳐 큰 파장을 낳았다


  • 안녕하세요. 정민교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엔론은 에너지기업으로 포춘지 선정 미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 중 하나였습니다

    그러나 2001년 8월경 대니얼 스코토라는 애널리스트가 엔론을 파헤치지 시작했고, 보고서를 통해 자산과 이익이 대부분 허위이며 분식계등의 회계부정이 만연한 최악의 기업이라는 주장을 하게 됩니다.

    대중들의 시선은 자연스레 엔론의 대응으로 쏠리게 되었으며, 실제로 엔론은 처음에는 부정하다 대부분의 의심이 사실로 밝혀져 결국 파산 신청을 하게 됩니다

    아울러, 엔론을 수년간 회계감사 했던 아서 앤더슨이라는 회계법인도 문을 닫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001년 10월 16일, 미국의 건실한 에너지, 물류 기업으로 알려져 있던 엔론 사는 2001년 3분기 6억 1,800만 달러의 손실이 났음을 공시했으며 2억 달러 규모의 자본감소, 즉 감자를 하겠다는 발표를 해 거래소를 발칵 뒤집어 놓습니다.

    그 전까지만 해도 엔론은 소문난 에너지 기업으로 널리 알려져 있었습니다. 미국 텍사스에 본사를 둔 엔론은 1985년 천연가스 유통회사인 인터노스와 휴스턴 내추럴 가스 간 합병으로 탄생했습니다.

    그 전까지 엔론 사가 밝힌 공시 자료에 의하면, 엔론 사의 매출액은 1986년 76억 달러 수준에서 2000년 1,010억 달러까지 상승했고, 시가총액은 무려 660조 원에 달했습니다. 아울러 전 세계 40개 국에 2만 1천 명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그 규모는 미국 제 7위에 달했습니다. 이에 미국의 경제지 <포춘>은 1996년에서 2001년까지 미국에서 가장 혁신적인 기업으로 엔론을 선정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사실 엔론의 기록적인 매출 성장세와 이익 대부분은 회계조작의 산물이었습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엔론의 회장 케네스 레이와 CEO 제프리 스킬링이 있었습니다.

    둘의 이야기는 1985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인터노스와 휴스턴 내추럴 가스의 합병으로 엔론이 탄생하는 과정에서 인수 합병에 든 비용 50억 달러의 채무가 발생했는데, 케네스 레이 회장은 이 채무를 드러내는 것이 좋지 않다고 생각했습니다.

    그 이유는 엔론의 주요 업종 중 하나로 레이 회장은 중개업을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 중개업은 중개업자의 신용도가 매우 중요했기 때문입니다. 만약 중개업자의 부채가 많거나 현금이 없어서 신용도가 낮게 평가된다면, 거래 업체들은 물건과 대금을 떼일 우려가 있어 거래에 쉽게 나서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중개업체들은 자산 건전성 수준이 높아야 하는데, 50억 달러나 채무가 있다는 것은 당시 중소업체에 불과했던 엔론에게는 그리 달가운 일은 아니었습니다.

    분식회계와 회계조작으로 실적을 쌓다 이를 해결해 준 사람이 바로 맥킨지 출신 컨설턴트 스킬링이었습니다. 그의 전술은 특수목적법인(SPE)을 이용한 회계조작이었습니다. 즉 엔론이 진 빚을 법인에게 떠넘겨 엔론은 빚이 없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것으로 이 특수목적법인들은 엔론의 부실한 고정자산과 부채를 인수했습니다.

    당연히 특수목적법인들은 엔론 본사가 털어낸 자산을 보유하게 되니 막대한 손실을 입을 수밖에 없습니다. 이에 엔론은 이들에게 '지급보증'을 해줬지만 그 내용을 재무제표에는 표기하지 않는 방식으로 분식회계를 합니다.

    한편 엔론은 매출을 늘리고 사세를 키우기 위해 M&A 시장과 신사업에 주력해 수력 발전업, 텔레콤 산업, 파생상품 투자 등을 시작합니다. 당시 엔론은 경영진들이 적극적으로 인수합병과 신사업 진출에 참여하게끔 동기를 이끌어내고자, 해당 프로젝트가 성공할 경우 경영진들에게 푸짐한 성과급을 지급했습니다.

    실제로 엔론은 '자동차의 날(Car Day)'이라 불리는 때가 있었는데 이는 엔론사가 임직원과 경영진들에게 성과급을 지급하던 때를 의미했습니다. 이 때 멋진 스포츠카들이 회사 앞에 이들을 기다리고 있다는 데서 비롯된 단어였습니다.

    문제는 이 성과급이 실제 발생한 이익이 아니라 새로운 인수 합병 계약이 체결되거나 신사업이 체결되는 시점에 맞추어서 미래이익을 추정, 그 일부분을 지급하는 방식이었다는 점입니다.

    그렇게 되니 엔론의 경영진들은 해당 기업이 진짜로 합병할 만한 기업인지, 혹은 신사업이 잘 되는지에 대해 관심 없이 성과급과 직결되는 프로젝트 진행과 체결에만 관심을 보였습니다.

    어쨌든 M&A와 신사업이 계속되다 보니 엔론의 사세와 매출 규모는 늘어나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하지만 사실 이 기업들의 실적은 암울한 수준이었고 엔론은 곧 현금 부족에 시달리게 됩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엔론은 실적을 부풀려 시장에 발표, 주가를 띄운 다음 이를 바탕으로 사채를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을 취합니다. 아울러 기존에 해오던 데서 더 나아가, 4개의 별도 조합 회사를 설립하여 해당 회사들과 거짓 거래를 통해 매출액을 키웠습니다.

    2002년 1월 미국의 대기업 엔론의 파산은 거대한 후폭풍을 일으켰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직장을 잃었고, 회사의 파산 때문에 퇴직연금 역시 모래성처럼 사라졌습니다. 그 이유는 엔론의 임직원 대부분이 상당한 퇴직금을 엔론 사 주식에 투자하는 방식을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80달러 수준이던 엔론의 주가가 1달러 미만으로 폭락하자 퇴직금 역시 가치가 폭락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래 링크를 따라가시면 2000년대 초반 세계 경제에 충격을 준 엔론사태의 전말을 알 수 있습니다. 현재 회계 기준과 내부통제 관련 규제 등은 당시 엔론 사태 이전과 이후로 나뉠 정도로 시장에 주는 충격이 상당했습니다. 분식회계 즉, 회계 조작으로 매출과 이익을 보고 하던 중 더 이상 숨기기 어려웠던 2001년 3분기 공시 때 약6억 2천만불 손실 공시를 하며 사태가 촉발 되었습니다.

    https://webzine.securities.miraeasset.com/bbs/board.php?bo_table=MD12&wr_id=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