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오늘배움
오늘배움

어떤 이유로 물가는 오르기만 할까요?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물가가 오른다는 말은 자주자주 들었지만 물가가 내린다는 말은 들은 적이 없습니다.

왜 물가는 오르기만 할까요?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물가의 경우도 그래프상 파동이 있습니다. 다만 전체적인 그림은 우상향하고 있기 때문에 매번 오르기만 하는것처럼 느껴질수 있습니다. 물가 인상의 이유는 단기적인 요인에 따라 수요공급 요인 변화에 따른 물가변동이 있을수 있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화폐의 공급량이 늘어나면서 화폐가치가 낮아지고 그에 따라 물가도 상승하는 것으로 이해를 할수 있습니다. 보통 한국은행에서 일정량의 화폐를 찍어내어 시장에 공급한다고 해도 실제 시장에서는 공급량보다 훨씬 많은 규모의 화페들이 유통되게 되는데 이는 금융권을 통한 화폐의 복사가 이루어지기 떄문이고 간단하게 은행에서는 실제 가지고 있는 돈보다 더 많은 돈은 대출을 통해 시장에 풀어주기 때문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우리가 학교 다닐때 경제시간에 배우는 수요 공급 원칙에 따라 수요 대비 공급이 줄어들면 물가가 상승(인플레이션)한다는건 사실상 거짓입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공급이 수요보다 적을수가 없죠. 근본적인 원인은 화폐개혁 이후 금태환제도가 폐지되면서 달러를 무한정 찍어낼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게 원인입니다. 연준이 이시기에 만들어지면서 정말 자기들 멋대로 찍어내고 있어요. 대한민국은 미국과 어느정도 연동이 된 나라라 금리를 따라갈수밖에 없고 그에 따라 우리나라도 돈을 계속 찍어내는겁니다. 그리고 은행도 준비금을 제하고 나머지는 대출을 통해 또 무한정 돈을 찍어내는 시스템입니다.

    그러면 이세상에 돈이 무한정 풀리면서 물가는 계속 올라갑니다.

  • 코로나19때 세계적으로 경기 활성화를 위해 시중에 돈을 많이 풀었습니다. 그리고 금리또한 저금리 상태여서 시중에 돈이 많이 돌고 있었고, 최근에는 전쟁 이슈로 원자재가격 등이 많이 올라 물가가 많이 올랐습니다.

    원래는 화폐의 가치를 조절하기 위해 물가 상승율을 1~2%대로 관리를 합니다. 물가가 올라가면 금리를 높여서 경기를

    침체시켜서 시중의 돈을 중앙은행이 흡수해서 화폐의 가치를 지키고 경기가 하락하면 그 만큼 물가는 잡히기 때문입니다.

  • 요즘 물가를 더오르게 하는이유가 에너지인데 원유 천연가스등 원자재가격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전세계적으로 물가가 상승하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석유값인상,곡물가격급등인데 거기다 기후변화로 인한가뭄으로 야채나 과일값이 한없이 오르고 있습니다

    또 시중에 돈을 많이 풀어서 소비를 하다보니 물가상승으로 이어지나봅니다

    여러가지 악조건들이 끈임없이 이어지다보니 좋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습니다

    빨리 안정이 되기를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영관공인중개사 입니다.

    물가는 종이화폐를 한도없이 계속해서 발행하다보니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여 발생하는것 입니다.

  • 여러가지 원인이 있지만 원자재가 상승, 인건비 상승, 물류비 상승등이 있고 특히 인건비 상승의 경우 제품이 제조되는 전 과정에서 각 단계별로 가격이 상승하므로 최종 소비자는 그 모든 상승분을 전가받으므로 더욱 물가가 상승하게 되는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