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살가운다향제비63
살가운다향제비6323.09.15

경제가 안 좋아지면 왜 자꾸 금리가 오르는 걸까요?

경제가 안 좋아지면 왜 계속해서 금리가 오르는걸까요? 가계 부채가 점 점 더 많아지고 있는 우리나라 상황에 금리그 더 오른다면 대출 받은 사람들은 높아진 이자에 허덕일텐데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계부채가 많아지고, 물가의 상승이 가파른 등 여러가지 상황이 발생하면 이를 억제가히 위해 금리인상의 정책을 수행하게 됩니다.

    그에따라 자산의 가격이 낮아지고 투자가 쉽지 않아져 경기침체의 상황이 발생할 수 있지만, 금리인상으로 인하여 물가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존재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일반적인 시장에서는 인과관계가 뒤바뀐 질문입니다.

    일반적으로는 경기가 호황을 누리다가 과열이 되면 인플레이션이 과다해지고 이를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올려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며 시간이 지나면 다시 경기가 수축기로 접어들죠

    현재 경제 또한 과도한 부동산 투자, 전쟁으로 인한 공급 부족, 저금리 시대 무분별한 대출 등으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극대화된 상황입니다.

    중앙은행의 지상 목표는 물가의 안정이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올리고 있는 것입니다.

    일반적인 소비자 입장에서는 물가도 비싸고 가계 경제가 어려워지는데 금리를 올려서 부담이 더 심해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나,

    경제 순환의 관점에서는 금리 인상을 필연적인 흐름이라고 보여집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 조정에 따라 미세한 부분까지 조정되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그래서 상황에 따라 내리고 올리는데 이를 미국이 마음대로 하고 있다고 하죠

    거기에 끌려가는게 무역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고

    말씀하신대로 높아진이자에 허덕이는 사람은 중산층이하 서민들입니다

    예적금이자로 돈벌고 임대소득으로 돈버는 부자들에게는 이익입니다

    그게 자본주의에 누구에게는 장점이자 누구에게는 단점이죠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정확하게는 경제가 너무 과열되기 때문에 이러한 과열된 경기를 억제하기 위해서 금리를 인상하고 이런 금리인상으로 인해서 경제가 나빠지게 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현재 물가가 상당히 높기에

    물가를 잡기 위하여 금리를 계속 올리는 것으로

    물가를 잡지 못하면 경제에 더 큰 악영향을 주기에

    그런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가 안 좋아져서 금리가 오른다기보다는 현재 고금리 상황과 부채가 많이 쌓이 경제구조로 인하여 이자부담이 상승해서 경제가 안좋아졌다고 해석하는 것이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