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행복하게살아요
행복하게살아요

물가 상승율 수치에 대한 기준점이 궁금합니다.

뉴스를 보니까 4월 물가 상승율이 2.9%라고 합니다. 그전까지는 월별 3%라고 하던데 그나마 4월 들어와서 소폭 하락하였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월별 2~3%하는 물가 상승율의 기준점을 모르겠습니다.

전달이 3%였고 이번달이 2%였으면 두달 동안 5%를 올랐다는 의미인지 아니면 물가가 1%떨어졌다는 의미인지 모르겠습니다.

물가상승율 수치를 어떻게 받아 들여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소비자물가지수는 2020년을 기준 (100으로 설정)으로 가계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으로 458개 품목을 대상으로 상품가격과 서비스요금 변동 측정을 위한 지수 이며 (2020년 100, 2021년 102.5, 2022년 107.7, 2023년 111.6),

    소비자물가상승률 = ((당해년도 연간소비자물가지수 / 직전 연간소비자물가지수) -1) x 100 으로 계산 됩니다.

    예: 2023년도 소비자물가상승률 = ((111.6 / 107.7) -1) x 100 = 3.6 %

    물가상승률은 기본적으로 소비자물가지수를 가지고 계산한 것이고 전월(년)비인지 전년동월비 인지 전년동기비 인지 등에 따라서 달리질 수 있습니다.

  • 정확한 산정방식에 대해서는 공부가 필요해보이긴 하나 알기로는 물가상승률은 소비자물가지수를 기준으로 산정하게 되는데 전년동월대비 변화율을 나타내게 됩니다. 그에 따라 전월 물가상승률이 2%라면 전년도 동월대비 상승율을 말합니다. 그에 따라 전달과 이번달의 상승률을 더하거나 빼는게 아니라, 각 월별 전년도 대비 얼마나 올랐다는 의미로만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소비자 물가지수는 시장에서 거래되는 상품의 물가 움직임을 지수화한 지표이며, 일반 국민들이 일상생활에서 영향받는 아주 중요한 경제지표입니다. 이를 통해 물가 상승 또는 하락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달의 소비자물가지수가 3%이고 이번 달의 소비자물가지수가 2%라면 두 달 동안 물가는 5% 상승했다는 의미입니다. 즉, 물가가 1% 떨어졌다는 것이 아니라 5% 상승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수치를 받아들일 때는 개인의 경제 상황과 목표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