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꾸만 아이가 거짓말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조금씩 아이가 성장해감에 따라 한 두 번씩 거짓말을 하더니 최근에는 말을 지어내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데요. 이 상황을 어떻게 하면 좋을지 잘 모르겠어서 조언 구해봅니다.
아이가 자꾸만 거짓말을 하는 모습을 보니 걱정이 되겠습니다.
흔히 아이가 거짓말을 하는 이유는 야단을 맞지 않기 위해서입니다. '혼 안낼테니까 사실대로 말해봐' 이렇게 말해도 크게 달라지지 않을겁니다. 시간이 걸리겠지만 민주적인 양육태도로 아이와 관계 형성을 우선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평소 아이의 행동이나 말을 공감해준다면 아이는 잘못했을 때에도 사실대로 말하게 될 것입니다.
아이가 거짓말을 했을때
아이의 잘못된 행동이나 말을 관찰한 사실대로 이야기하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하고 '다음부터는 잘못하거나 실수를 해도 사실대로 말해줬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며 마무리합니다. 대신 화난 어투가 아닌 차분하게 이야기하는게 중요하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거짓말을 하는 이유는 부모님에게 크게 혼이 날 것이 두려워서 그 상황을 모면하기 위해 거짓말을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아이가 거짓말을 하는 습관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아이가 거짓말을 했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거짓말을 하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거짓말을 하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세요.
더나아가 피노키오와 양치기소년 동화책을 함께 읽어보면서 거짓말이 왜 옳지 않은지 그 이유를 함께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도 좋을 것 같구요.
거짓말을 하는 행동은 남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라는 것도 인지시켜 주면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성장하면서 어떠한 상황을 모면하기 위해서 거짓말을 하기 시작한다고 합니다. 처음 하는 거짓말의 경우에는 어눌하기 때문에 부모님께서는 눈치를 챌 수 잇겠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 두번정도는 그냥 넘어가도 된다고 생각하지만 이게 계속해서 지속된다고 한다면 아이를 훈육을 해주셔야 되겟습니다. 아이가 거짓말을 하는 이유를 먼저 확인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그 이후에 아이를 훈육하는 방향에 대해서 선정해주시는게 현명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진실을 말했을 때는 칭찬과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어 진실을 말하는 습관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벌을 두려워하거나 주목받고 싶어서 거짓말을 할 수 있습니다. 거짓말을 했을떄 화를 내기보다 차분히 대화하고 솔직한게 말하는 것이 더 좋은 결과를 가져온다는 점을 알려주세요
아이가 거짓말을 하는 이유는 다양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부모님이나 선생님으로부터 관심을 받기 위해서나 자신의 잘못을 숨기기 위한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상상력이 풍부한 아이들은 현실과 상상을 구분하지 못해 거짓말을 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행동은 자연스러운 발달 과정 중 하나이지만, 지속적으로 반복되면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대처 방법이 필요합니다. 아이가 거짓말을 했다고 해서 화를 내거나 혼내면 오히려 더 큰 반발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먼저 마음을 가라앉히고 아이의 이야기를 들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건강하고 올바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꾸준한 관심과 사랑을 기울여주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되었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거짓말을 하는 이유를 파악해 주세요
관심 받기 위해서나 혼나지 않기 위해서 일수 도 있습니다.
거짓말을 해서 혼내기 보다는
솔직하게 말했을 때 칭찬을 더 많이 해주세요
칭찬은 긍정적인 피드백으로 더 진실 된 행동을 장려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말씀해주신 것처럼 아이가 거짓말을 하기 시작했을때에는, 아이의 심리 상태가 불안정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거짓말을 하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요. 보통은 아이가 부모의 관심과 애정을 갈구하는 과정에서 거짓말이 많이 이루어집니다. 또한 자신이 원하는 대로 주변 일들이 돌아가지 않기 때문에 일종의 심리적 불안감을 표출하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일단 아이의 감정을 다독여주시고 감정들에 누그러지게 한 다음 아이의 이야기들을 들어 보시는 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