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임금·급여

질문이많은사람
질문이많은사람

4대보험vs3.3% 어떤게 맞는선택일까요?

본인 22살이고 영업사원으로 일 하는데 기본급+인센구조임, 4대보험,3.3% 어떤게 나을까

세전 300~600돼

<< 현 나라 시점과 앞으로의 전망을 고려하여>>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원칙적으로 4대보험은 가입의무가 적용되므로 선택사항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또한 3.3퍼센트를 적용하더라도 근로자는 근로소득세 납부 의무가 있으므로, 근로소득세율을 적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훈 노무사입니다.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로 고용되는 것이라면 두가지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아닌 4대보험을 가입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창국 노무사입니다.

    3.3% 세금 처리한다고 하는 것은

    대부분 회사에서 질문자를 근로자로 고용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경우입니다.

    이럴 경우 근로자에게 발생하는 주휴수당 + 연차휴가 + 퇴직금 등에 대하여 분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시고 4대보험을 가입하여 근로자로 근무하시는 것이 위 권리 발생 분쟁시 안전판을 확보해 줍니다.

    몇달 근무하고 퇴사할 경우라면 단기 수입이 많은 것이 좋지만 1년 이상 장기적으로 근무할 경우라면 근로자로 4대보험을 가입하고 근로하시기 바랍니다.

    설명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하 노무사입니다.

    4대보험과 3.3%는 선택사항이 아닙니다.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라면 4대보험에 가입하는 것이 원칙이고, 근로자가 아닌 프리랜서로 일하는 경우라면 보통 3.3%공제를 하는 것입니다.

    어느 것이 더 유리한 개념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4대보험은 강제보험으로써 가입요건을 충족하면 반드시 가입해야 하며, 3.3%는 사업소득자에게 부과되는 사업소득세이므로 근로소득자인 근로자에게 원천징수 할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3.3% 세금처리는 프리랜서에게 적용이 됩니다. 근로자라면 법에 따라 4대보험에 가입해야 합니다.

    근로자임에도 3.3%로 세금처리를 하는것은 불법입니다. 감사합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