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주거급여 확대한다던데 진짜 독립에 도움될까요?
국토부가 청년 주거급여 지원 대상을 확대한다는 뉴스가 있더라고요. 이게 지원 범위가 늘어나면서 월세에 허덕이는 처지에 반가운 소식이기는 한데 과연 얼마나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까요? 서울 기준으로 1인 가구 월세가 평균 60만원이 넘는다고 하던데 주거급여로 받는 지원금으로는 뭔가 부족할 것 같더라고요. 게다가 신청 절차도 다소 복잡해보이기도 하고 독립하고 싶어도 경제적인 부담때문에 주저하는 분들도 계시던데 이 정도 지원으로 큰 변화가 있을 수 있을까요? 해외처럼 청년 주거 정책이 잘 정착된 나라들은 어떤 방식으로 접근하는지도 궁금합니다!
국토부가 청년 주거급여 지원 대상을 확대한다는 뉴스가 있더라고요. 이게 지원 범위가 늘어나면서 월세에 허덕이는 처지에 반가운 소식이기는 한데 과연 얼마나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까요?
==> 그래도 경제력이 약한 무주택자 청년들에게 삶에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서울 기준으로 1인 가구 월세가 평균 60만원이 넘는다고 하던데 주거급여로 받는 지원금으로는 뭔가 부족할 것 같더라고요. 게다가 신청 절차도 다소 복잡해보이기도 하고 독립하고 싶어도 경제적인 부담때문에 주저하는 분들도 계시던데 이 정도 지원으로 큰 변화가 있을 수 있을까요? 해외처럼 청년 주거 정책이 잘 정착된 나라들은 어떤 방식으로 접근하는지도 궁금합니다!
==> 큰 변화는 없고 일시적이지만 도움을 주고 있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청년주거급여 기준은 2026년도에 좀더 확대되어 기준 중위소득 48%이하(약 122만원 이하) 가구에 해당되면 지원 대상이되며, 부모님 재산과 상관없이 본인 소득과 재산만으로 판단이 된다고 합니다. 서울지역의 경우 1인가구 기준으로 월 36만 9천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게되는데 평균치에 비하면 아직도 많이 부족한 상황이기는 하지만 저소득층에게는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유럽 일부 국가(예: 독일, 네덜란드, 스웨덴)는 청년 주거 수요에 맞는 특별 임대 주택을 장기 임대로 저렴히 공급하거나,
청년 월세 보조금(Voucher)을 통해 시장 임대료 일부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합니다
이 서비스들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민관협력 또는 직접 공급하고, 청년 전용 상품을 정규화해 지속 운영됨으로써 안정적인 주거 기반을 제공하는 모델입니다
한국도 최근 LH·SH의 청년 전용 공공임대 확대와 함께 방향을 잡고 있지만, 아직은 제도 초기 단계를 거치는 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지원금은 월세 전액은 아니지만 독립 초기 월세 부담을 절반 이상 덜어줄 수 있는 실질적 도움이 됩니다
신청 절차도 과거보다 쉬워졌고, 특히 임대차 계약서와 전입신고, 가족 소득 증빙 등을 준비하면 신청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국가가 청년 주거 복지를 본격적으로 확대하는 초기 단계라는 점에서 개선 여지는 많지만, 지금도 독립에 부담이 큰 분들에게는 의미 있는 지원입니다
잘알아보고 신청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월세 20만원 지원이면, 50만원 기준 절반 40%지원해주는 정책이니 독립에 엄청난 도움이 됩니다.
추가 궁금하신 사항 있으실가요?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시에서는 월세의 절반 수준만 보조됩니다. 즉 보조가 되는 건 맞지만 자립 수준의 주거 해결은 어렵습니다.
해외 사례를 보면 독일은 임대료 대비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지원을 하며 프랑스에서는 청년, 학생 저소득층 모두 대상으로 월세의 절반 이상 보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본의 경우 월세 일정 비율만큼 보조되고 1인 가구 증가로 청년층 지원 비중이 확대되고 있는 중입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