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치과 이미지
치과의료상담
치과 이미지
치과의료상담
솔직한풍뎅이203
솔직한풍뎅이20321.12.20

잇몸 부음 치아 들뜨는 느낌?

자고나면 왼쪽 아래 어금니 골드크라운한곳이

잇몸이 부어서 그런지 치아가 들떠서 올라오는 느낌입니다.

양치질을 하고 몇시간 지나면 괜찮아지긴하는데

아침에 부어서 일어날때 느낌이 굉장히 안좋습니다.

교합조정을 받기전 전체적으로 치아 고경이 조금 낮아지기전까지는 문제가 없었습니다.

치과에서 잇몸치료도 받고(큐렛으로 뿌리부분 치석을 긁어내고) 스케일링도 받았는데

치료당일은 좀 가라앉은 느낌이 들었는데 다시 원래대로 돌아갑니다.

신경치료는 했는데 엑스레이상에는 그 안에 하얀색줄기로 채워지는? 그건 없습니다.

(희미하게 1줄기 보일까말까한정도로 있긴합니다.)

금니 씌울때 선생님께서도 말씀은 하셨는데 따로 조치는 없었고

다른곳에서도 엑스레이상 별 말은 없었습니다.

1.자고난 후 지속적으로 금니가 잇몸이 붓는? 치아가 들뜨고

잇몸치료해도 다시 그런느낌이 드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아프거나 먹는데 크게 불편한건 없습니다.)

2.아래 금니를 재신경 치료를 하고 다시 보철을 해야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효상 치과의사입니다.

    잇몸에 염증이 생긴것같습니다.

    치아 뿌리 끝에 염증이 생겨서 잇몸쪽으로 까지 번진 경우라면, 재신경치료를 해보는 방법이 있고,

    치아 뿌리 옆쪽에 염증이 생겨서 잇몸쪽으로 번진 경우라면 스케일링, 잇몸치료를 주기적으로 해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둘중 어느것이라도, 너무 염증이 많이 진행된 경우에는 빼고 임플란트를 해야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치료부위에 불편감이 느껴지는 경우 우선 정확한 상태 파악을 위해서 치료받은 치과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시길 권장드리며 치료부위 아래쪽으로 충치가 생긴경우 추가 치료가 필요로 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

    정확한 구강 상황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원인에 대한 정확한 판단은 어렵습니다. 다만, 잇몸치료 등을 받은 것으로 보아 해당 부위에 치주질환이 진행 중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1. 이미 치주질환이 어느정도 진행된 경우에는 잇몸치료 등을 통해 해당 부위를 청소한다 하더라도, 잇몸 깊이 비어있는 공간으로 인해 다시 쉽게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평소 구강위생관리를 철저히 하면서 주기적으로 치과에 내원하여 관리를 하는 방법이 가장 좋으며, 잇몸수술 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2. 해당 치아를 재신경치료해야 하는 경우인지를 판단할 수 없습니다. 해당 치아의 재감염으로 인한 경우라면 재신경치료가 필요하나, 질문내용만으로는 그 내용을 판단할 수 없습니다. 치과에 내원하여 담당 선생님과 상의하시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몸의 면역력이 저하되었거나 치주건강이 좋지 않다면 치아가 들뜨는 느낌이 들수 있습니다.

    몸이 충분히 휴식을 취할수 있도록 해주시고 교합이 높다면 교합을 조정해줄수 있어요.

    신경관에 감염이 되었다면 재신경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정확한 확인을 위하여 치과에서 자세한 진료를 받아보시길 권장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자고난 후 지속적으로 금니가 잇몸이 붓는? 치아가 들뜨고

    잇몸치료해도 다시 그런느낌이 드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아프거나 먹는데 크게 불편한건 없습니다.)

    잇몸이 들뜬느낌이 아는건 잇몸에 염증이 있다는 이야기 같습니다. 이는 단순히 잇몸염증문제 인지

    치아기원인지 먼저 파악하시고 치료를 하셔야 될것같습니다. 치아 기원이라면 신경치료가 필요 할수도 있습니다.

    2.아래 금니를 재신경 치료를 하고 다시 보철을 해야하는건가요?

    문제가 있으시다면 재 신경치료를 시도 해보시는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이는 신경치료 하신지 기간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지고

    치아 상태에 따라서도 다릅니다. 신경치료 하신지 얼마 되지 않으셧다면 재신경치료도 해볼만하지만, 기간이 오래되셧거나 치아 상태가 많이 안좋은 상태라면 발치 가능성도 존재 하니 치과를 먼저 방문하셔서 진단을 받아보시는걸 추천드려요


  •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

    1. 잇몸이 안좋을때 나타나는 증상과 유사합니다. 그러나 직접 보고 진단하는 것이 아니기에 정확하게 감별진단하기는 어렵습니다.

    구강위생관리가 잘 안되어 해당부위의 잇몸이 많이 안좋아진 경우라면 잇몸치료를 하더라도 깊게 형성된 치주낭은 제거가 불가능하며 해당 부위로 지속적으로 치태가 끼어 잇몸이 붓고 피가 날 수 있습니다. 최대한 관리하다가 결국에는 발치하고 임플란트를 하는 수밖에 없는 경우가 됩니다.

    2. 잇몸이 원인인 경우라면 신경치료를 다시하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만약 원인이 치아의 신경에 원인이라면 재신경치료가 유효할 수 있으나 모든 경우에 가능한 치료는 아니며, 치아의 해부학적 구조나 기형 신경관이 존재하는 경우라면 더더욱 어렵습니다. 치아 신경에 원인이 있을 경우에나 한번 시도해볼 수 있는 것이지 매번 하는 치료는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현 치과의사입니다.

    금니가 지속적으로 붓는다면, 치근단염증이 있거나 치주염이 있을 수 있습니다.

    치근단염증이라면 재신경치료를 해야하고, 치주염은 잇몸치료를 해야합니다.

    정확한것은 사진을 봐야 알 수 있기때문에 치료받은 치과에서 다시한번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1.자고 일어난 이후에 금니가 붓는 가장 큰 원인인 잇몸 질환입니다. 보통 잇몸 질환이 있을 때는 자고 일어나면 불편감이 커질 수 있습니다. 또한 양치나 관리로 인하여 증상이 호전된다면 잇몸 질환일 가능성은 더욱 더 커질 수 있습니다. 다만 현재 금니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방사선 사진이 필요해보입니다.

    2. 해당 증상이 신경치료가 미완료되었거나 애매한 상황이라면 보철물을 제거하고 다시 신경치료를 하고 보철을 해야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섣부르게 판단하기에는 이르다고 보시면 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