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임금·급여 이미지
임금·급여고용·노동
임금·급여 이미지
임금·급여고용·노동
충실한두꺼비61
충실한두꺼비6123.09.07

퇴직을 해야하는데 회사재정상태로 인해 퇴직금못받고있는 상황

안녕하세요. 이직이 결정되어 현재 회사에서 퇴직을 해야하는데 현회사의 재정상황이 악화되어 퇴직금 정산을 못받고 있습니다. 회사사정상 4월부터 월급의 50%만 받고 있었는데 퇴직금 정산도 '원래 월급의 50%'에 대하여 정산하는 것이 맞는지? 퇴직하고 나서 나중에 퇴직금을 정산받는 경우 문제는 없을지? 혹시라도 회사가 파산하게 되는 경우 어떻게 되는건지...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인도 노무사입니다.

    퇴직금은 근로자가 받을 수 있던 임금 총액을 기준으로 계산 및 지급되어야 할 것입니다. 한편, 회사가 파산하여 임금 등의 지불능력이 없는 경우 근로자는 일반대지급금제도를 통해 국가로부터 퇴직금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보전받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회사사정상 월급의 50%를 받는다는 것이 임금을 아예 삭감한 것인지 아니면 50%는 나중에 지급하기로 한 것인지에 따라 다릅니다. 전자라면 50% 기준으로 퇴직금을 산정하고 후자라면 100% 기준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

    퇴직금은 원래 임금을 기준으로 계산하여 받아야 하고 미지급임금과 퇴직금은 회사가 파산하는 경우 대지급금 신청이 가능합니다. 대지급금으로는 체불임금 전액은 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상 퇴직금은 "평균임금(or 통상임금)×30일×재직일수÷365일"로 산정하는바, 평균임금이란 이를 산정해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개월 동안에 그 근로자에게 지급된 임금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을 말합니다. 이때, 지급해야할 임금총액을 평균임금으로 산정해야지 삭감된 임금총액을 기준으로 평균임금을 산정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