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색다른콜리160
색다른콜리160

초등학생 아이가 짜증이 늘어났다면 어떤 이유에서일까요? 해결 방법은?

방송 등의 미디어를 통해서 보면 짜증이 늘어나는 이유에 대해서 많은 이야기가 있지만

아이가 말을 하지 않는 이상 정확한 이유를 판단하기 어려운데요.

아이의 짜증냄의 원인을 체크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는 어떤 게 좋을까요?

어떤 자세를 갖고 대화를 하는 게 좋은지 전문가의 의견이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선은 일단 짜증이 가라앉을 때까지 기다려 주세요. 짜증이 가라앉고 아이가 상황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을 것 같으면 천천히 이야기를 들어주세요. 짜증은 아이가 그 기분을 발산하고 있는 과정을 말합니다. 짜증이 나는 것, 싫은 기분이 드는 것 자체는 나쁜 것이 아닙니다. 짜증을 냈을 때 물건이나 사람을 맞는 것이 아니라 다른 방법으로 자신의 화난 마음을 전하거나 발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아이와 함께 이야기를 나눌 수 있으면 좋겠네요.

      " 엄마가 나의 이야기를 들어주지 않아 기분이 나빴어." 혹은 "친구가 나에게 이런 말을 해서 오늘은 기분이 몹시 나빠" 라는 식으로 자신의 기분 상태를 말로 표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먼저 이야기를 하지 않을 경우 부모가 먼저 말해 주세요.

      오늘 우리 아이 기분이 많이 안 좋아 보이는 구나. 무슨 안 좋은 일이 있었니? 하고 먼저 말을 걸어 주세요. 아이는 자신의 화난 마음을 부모가 알아주길 바랍니다. 그리고 자신의 기분을 공감해 주길 바랍니다. 아이의 화난 기분을 공감해 주고 기분이 풀렸을 때 해결책을 아이와 같이 찾아볼 수 있도록 합시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 키우시느라고 수고가 많으십니다.

      초등학교 학생이 짜증을 내는 원인은 본인의 마음에 내재되어 있으니 내면을 잘 들여다 보고 해결하여야 하는데 내면을 들여다 보는 방법은

      자녀의 마음을 편안하게 하여 자유롭게 대화룰 해보시면

      좋울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부모님의 양육태도가 허용적이고 비일관적이라면 아이가 짜증을 많이내기도 합니다. 훈육을 할 따는 일관되고 안되는 것에 대해서는 명확한 규정을 세우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짜증이 늘어난 이유는 스트레스 입니다.

      스트레스로 인해서 짜증을 많이 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이는 자신의 마음을 알아주지 않는다 라고 생각하면 말을 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우선은 아이의 감정을 알아채는 것이 먼저 입니다.

      아이의 감정을 알고 아이의 감정을 공감해 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말을 하지 않는다는것은 그만큼 부모에 대한 신뢰나 믿음이 많이깨져서 그럴수있습니다

      그렇기에 이때는 조금씩 접근해가는것이 중요하며

      말보다는 글로 적으면서 아이에게 조금씩 표현해주는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초등학생이면 자신이 왜 짜증이 났는지 충분히 언어로 표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아이가 짜증이 난 상태에선 물어보기 보다 아이의 감정이 가라 앉았을 땐 차분하게 물어 보기 바랍니다.

      보통은 학업 스트레스, 친구관계 등의 원인으로 짜증을 내기도 하지요

    •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학교에서의 학업이나 친구 관계 그리고 가정에서의 문제 등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으로 인해 짜증이 늘어나는 경우가 있어요.

      이 때는 아이가 말하고 싶은 것을 잘 들어주고 그 문제를 함께 해결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면 짜증이나 피로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요.

      아이의 수면 패턴을 확인하고 규칙적인 수면습관을 만들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