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청초한당나귀247
청초한당나귀247

공시지가 5억정도되는 집을 구매하면 재산세는?

경기도에서 공시지가 5억정도되는 집을 구매하면 재산세는 얼마정도나 나오나요?

구매시 1주택이고 혹시 재산세에서 자녀가 3명이면 혜택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인터넷상 재산세 계산기등을 이용하여 계산해보면 재산세는 대략 60~65만원정도 나올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리고 지자체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고는 있는데, 다자녀 가구의 경우 재산세에 대해서 50%감면을 적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고 감면한도는 최대100만원까지 로 알고 있습니다. 시가표준액이 9억원 이하일 경우 적용되는 만큼 질문의 경우라면 50%감면이 가능할것으로 보여 30~33만원정도 부과되지 않을까 판단되어 집니다, 다만, 재산세 감면혜택을 위해서는 재산세 납부기간에 맞춰 거주지 관할주민센터나 시,군,구청에서 신청을 하여야 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1세대 1주택이고 공시가격 5억원인 경우 공정시장가액비율 44%를 적용하면 과세표준은 2억2천만원이되고 재산세는 26만원으로 계산되며 여기에 도시지역인 경우 도시지역분 30만8천원, 지방교육세 5만2천원이 부과되면 총62만원이 과세될 수 있습니다. 다자녀 혜택을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재산세는 주택의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산정되며 1주택자는 0.05%~0.1%입니다

    공시지가가 5억원인 주택의경우 세율은 0.05%로 가정하면 연간 재산세는 약 25만원이 되고 재산세는 6월과 9월에 각각 50%씩 부과되므로 매회 약 12만 5천원씩 납부하는데 공시지가는 매년 변동될수 있습니다

    또 자녀가 3명이면 한명당 10%씩 30%는 감면 혜택을 볼수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공시지가 5억 정도 되는 부동산의 재산세는 보통 75만 원 정도 되겠습니다.

    재산세는 자녀 수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자녀가 3명이라도 재산세 세율이나 공제에 영향이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 경기도에서 공시지가 5억정도되는 집을 구매하면 재산세는 얼마정도나 나오나요?

    구매시 1주택이고 혹시 재산세에서 자녀가 3명이면 혜택이 있나요?

    ==> 재산세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주택공시가격이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고는 계산이 불가합니다. 관련 사이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조회/발급 < ETAX이용안내 | 서울시ETAX (seoul.go.kr)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경기도에서 공시가격이 약 5억 원인 주택을 1주택자로 보유하실 경우, 재산세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재산세 계산 방법
    1. 과세표준 계산:

      공시가격 × 공정시장가액비율

      5억 원 × 60% = 3억 원​

    2. 재산세율 적용:

      과세표준 3억 원에 해당하는 세율은 0.4%입니다.

      3억 원 × 0.4% = 120만 원​

    3. 재산세액: 따라서, 연간 재산세는 약 120만 원이 됩니다.​

    다자녀 가구 재산세 감면 혜택

    자녀가 3명 이상인 다자녀 가구의 경우, 다음과 같은 재산세 감면 혜택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감면 비율: 재산세의 50% 감면

    감면 한도: 최대 100만 원까지 감면

    적용 대상 주택: 시가표준액 9억 원 이하의 주택​

    따라서, 위의 예시에서 연간 재산세 120만 원 중 100만 원까지 감면받을 수 있으며, 실질적인 납부액은 약 20만 원이 됩니다.​

    감면 신청 방법

    재산세 감면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신청 시기:

    1기분 재산세: 7월 16일 ~ 31일

    2기분 재산세: 9월 16일 ~ 30일​

    신청 장소: 거주지 관할 주민센터 또는 시/군/구청​

    필요 서류: 가족관계증명서, 주민등록등본 등​

    신청 시기와 장소는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거주하시는 관할 행정기관에 문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