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풍과 관절염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통풍은 관절에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지만,
일반적인 관절염과는 원인과 증상이 다르다고 하던데,
통풍과 관절염의 차이점은 무엇이며, 각각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통풍은 요산결정에의해서 관절의 통증이나 붓기가나타나는질환이지만 관절염은 과사용으로인해서 관절자체의 마모나 염증으로인해서 발생하는질환입니다 둘다 관절의 통증이나 붓기가나타날수잇지만 통풍의경우 보통은 엄지발가락 관절에서 많이발생하고 관절염은 많이사용하는 관절에서 나타날수있습니다
자세한건 병원에서 전문의와상담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통풍과 관절염의 차이는 일단 원인부터 증상 그리고 치료법까지 차이가 있습니다.
먼저 통풍 같은 경우 요산 결정이 관절에 쌓이면서 염증을 발생시키는 질환이고, 관절염은 나이를 먹으면서 노화나 면역체계 이상으로 발생합니다.
또한 통풍의 증상으로는 갑잡스럽고 극심한 통증이 주로 엄지발가락에서 발생하는게 특징이지만, 일반적인 관절염은 점진적으로 발생하고 아침이나 혹은 저녁에 더 심해지는게 특징입니다.
뿐만 아니라 통풍은 관절이 붉어지고 뜨거우며 심한 붓기가 발생하지만 퇴행성 관절염이나 류마티스는 붓기가 상대적으로 적으며 대칭적으로 붙는게 특징입니다.
이외에도 통풍은 증상이 나타나면 3~10일정도 지속된 후 사라졌다가 다시 나타나고를 반복하지만 일반적인 관절여믄 점진적이고 지속적으로 있는것이 특징입니다.
치료법은 통풍은 요산 수치 조절을 위해 약물 및 식이조절이 중요하고, 관절염은 운동이나 물리치료 등이 중요합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
통풍과 관절염은 둘다 관절에 염증을 유발하는 질환이지만, 원인에 차이가 있습니다.
통풍은 요산 결정이 관절에 쌓여 염증이 발생하는것이고 관절염은 연골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입니다.
통풍의 발생 부위는 엄지발가락이 가장 흔하며, 발목 무릎에도 발생할 수 있고 관절염은 대부분 무릎이나 척추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통증 양상도 다른데, 통풍은 갑자기 극심한 통증이 나타나고 관절염은 조금씩 통증이 발생합니다.
예를들어 통증이 갑자기 심하게 발생하고 엄지발가락이 붓는다면, 통풍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통풍은 식이요법이나 생활 패턴의 변경만으로도 증상이 감소되는 반면에 관절염은 꾸준한 운동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통풍은 혈액 내에 존재하는 요산이 관절에 침착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관절염은 이에비해 노화나 외상 또는 부상과 같은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유발됩니다.
통풍성 발작은 혈액 내부의 요산수치를 관리하는 것으로 어느정도 증상 조절이 가능하지만, 관절염의 경우 퇴행성 관절염이나 류마티스관절염은 진행속도를 늦추고 관절 안정성을 증가시켜 기능을 유지하는데 치료의 목적을 띄고 있습니다.
통풍은 몸의 관절 부위에 요산이 과다하게 축적되면서 결정을 형성하게 되고 그러한 결절이 발적, 붓기, 통증 등의 염증을 일으키면서 발병하는 질환입니다. 반면 일반적인 관절염은 과도한 관절의 사용으로 인하여 관절이 닳게 되고 염증이 생기는 것입니다. 류마티스 관절염의 경우에는 자가면역과 관련하여서 관절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전혀 다른 원인에 의해서 관절 부위의 통증 등 증상이 생기는 질환들입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통풍은 주로 요산의 축적으로 인해 발생하며 급성 통증과 부종이 특징입니다 반면 일반적인 관절염은 다양한 원인(퇴행성, 염증성)으로 발생하고 만성적인 통증과 경직이 주로 나타납니다. 통풍은 주로 발가락 관절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관절염은 여러 관절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통풍 역시 관절염의 일종으로 보시면 될듯 합니다. 통풍성 관절염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이도 역시 관절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이기 때문이죠. 관절염의 다른 종류에는 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통풍도 관절염의 한 가지 입니다.
언급하신 바와 같이 관절염은 원인에 따라 다양한데 요산이라는 물질이 몸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과도하게 축적되어 발생하는 질환이 통풍 입니다.
통풍을 치료하지 않으면 발작성 관절염의 빈도가 점점 잦아지고, 침범하는 관절 수도 많아지며, 회복하는 시간도 점점 길어집니다. 관절염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면서 관절이 점차 상합니다. 관절염이 만성으로 발전합니다. 또한 통풍성 결절이라 불리는 덩어리가 관절 주위나 피하 조직에 나타나기도 합니다.
따라서 통풍 발작 시 병원을 방문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하겠으며 재발을 막기 위한 생활습관 관리를 하고 반복되는 경우 만성화가 되지 않도록 꾸준한 약물치료가 필요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통풍과 관절염은 모두 관절에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지만 그 원인과 임상적 특징이 다릅니다.
통풍은 요산이라는 물질이 혈액 내에서 과다하게 축적되어 관절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주로 엄지발가락 관절에 급성 통증과 부종을 유발하는 것이 특징이며, 이 외에도 발목, 무릎 등 여러 관절에서 발병할 수 있습니다. 통풍의 발병은 갑작스럽고 예기치 않게 발생할 수 있으며, 통증이 매우 심합니다.
반면, 관절염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만성적인 관절 염증입니다. 가장 흔한 형태의 관절염인 골관절염은 관절의 연골이 점차적으로 마모되어 통증과 뻣뻣함을 유발합니다. 반면 류마티스 관절염은 자가면역 반응으로 인해 관절의 염증을 유발하며, 주로 양쪽 손이나 발의 작은 관절에 영향을 미칩니다. 관절염은 대개 서서히 진행되고, 만성적인 통증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이 두 질환은 모두 관절에 영향을 미치지만, 증상의 시작 시기와 진행 양상, 영향을 받는 관절 부위, 그리고 원인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통풍과 관절염을 감별할 수 있으며, 각각에 맞는 치료 접근이 필요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