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아이 경제교육 언제 시작하는게 좋을까요?

아이가 용돈은 받아 쓰지만 돈에 대한 개념이 없는거 같아요~그냥 받은 돈을 쓰는데 바쁩니다ㅠ 그래서 경제교육을 시키려는데 언제 시작하는게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송신애 유치원 교사
    송신애 유치원 교사
    누리유치원

    아이의 경제교육을 언제하는 것이 적당한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이가 어렸을 때부터 돈의 개념을 알려주면서

    경제교육을 하면 될 것 같습니다.

    경제관념을 심어주기 위해서는

    가장 우선적으로 돈이 무엇인지를 알려줄 필요가 있겠습니다.

    https://tv.naver.com/v/25514775

    아이에게 캐릭터 용돈기입장을 선물해준다면 아이가 스스로 기록해보면서 용돈이 흐름을 파악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또 아이에게 용돈이 생겼을 때 아이 손을 잡고은행에 가서 아이 이름으로 된 통장을 만들어 줍니다.

    용돈이 생길 때마다/ 아이가 저축을 하고자 할 때마다 번거롭지만 은행에 주기적으로 방문해서 저축하는 것을 도와준다면

    아이의 저축하는 습관이 자리잡을 수 있을 것입니다.

    아이가 어리다면 시장놀이, 은행놀이를 하면서 경제개념을 키워줄 수도 있습니다.

    다양한 보드게임을 통해서도 가능합니다.

    은행놀이, 가게놀이 등을 통해서도 가능한만큼 4~5세 때도 경제교육이 가능할 수 있겠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경제교육은 아이들의 미래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아이들이 학교에 입학하면서부터 경제교육을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시기에는 돈에 대한 이해와 관리 방법, 소비와 저축, 예산 설정 및 지출 계획 등을 배울 수 있습니다. 또한, 부모님과의 협력도 중요합니다. 부모님은 자녀들에게 올바른 가치관과 행동 방식을 보여주고,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제공해 주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 경제교육은 빠를수록 좋은거 같습니다 용돈을 일정하게 주고 스스로 용돈기입장을 쓰도록 하면 아이가 경제적인 기초개념을 알게 될겁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경제교육은 빠를 수록 좋습니다. 아이가 심부름이 가능한 나이가 되면 마트에서 장보기 등 간단한 돈 쓰기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비싼 장난감(레고, 닌텐도등)은 절대 부모님이 사주지 마시고,

    아이가 용돈을 모아서 살 수 있게끔 해주세요

    그리고 용돈 사용 내역에 기록 하는 용돈 기입장을 쓰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서 부모님과 같이 가끔 확인도 하면서 불필요하게 쓴 용돈이 있는지 확인해 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에게 경제교육을 해주시는 시기는 아이가 용돈을 받는 시기부터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용돈을 주는 패턴을 다양하게 해서 돈을 쓰는 법을 알려주시는게 좋겠습니다. 돈을 모아서 사용하는 방법, 그리고 한달에 받은 용돈을 쪼개서 쓰는 방법등을 알려주시면 아이가 돈을 어떻게 관리를 해야하는지 어느정도는 터득하게 된다고 합니다. 간접적으로 나마 돈을 관리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미국 경제의 중심지 월가에서 경제 전문가들의 조언에 따르면, 아이들이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처음에 계획을 확실하게 세우는게 중요합니다. 보통은 초등학교에 입학하게되면 경제교육이 시작하게 되는데요. 필요한 물건들을 철저하게 조사해보고 소비계획을 세워보도록하는 겁니다. 그리고 그 물건에 대해 분석을 해본 후 가장 최적의 효율성을 합리적인 소리를 할 수 있는 걸 선택해서 구매하는 겁니다. 지출을 하고나서는 자신의 소비에 대해 반성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게 하는것까지 용돈 관리의 완성입니다. 집근처 마트에서 물건을 직접사보게하면서 깨우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