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화목한다람쥐109
화목한다람쥐109

부모님한테 째려보는 습관 어떻게 고쳐주죠?

안녕하세요

아이가 아직 유치원생인데요

아이를 훈육 할때면 아이가 기분이 나쁘다고 째려봐요

무시하고 훈육하는데... 째려보는거 어떻게 대응 해야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째려본다는 게 부모님에게 반항하려거나 화를 내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습니다. 아이들은 감정 표현을 하는게 서툴고 어렵기 때문에 부모님들께서 감정 표현을 제대로 표출하는 법을 지도해주셔야 합니다. 감정 표현 카드를 활용해서 아이들과 함께 가정에서 평상시에 자신의 감정을 잘 표현하는 연습을 해 주시게 되면 이러한 모습들이 점차 사라지게 될 것입니다. 화를 내시는 게 혼내시는 게 정답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째려보는 행동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일 수 있습니다. 아이가 째려보면 당황하거나 화를 내지 말고 침착하게 대응하도록 노력해보세요. 그리고 아이에게 부드러운 말투로 말해주세요. 아이가 째려보는 대신 다른 방법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해주세요. 예를 들어 "엄마한테 하고 싶은 말이 있으면 소리지르지 말고 예쁘게 얘기해줘"라고 말해줄 수 있습니다. 아이가 째려보는 행동을 바로 고치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인내심을 갖고 천천히 고쳐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째려보는 행동은 그들의 감정 표현 중 하나입니다. 이는 그들이 피해자가 될 수 있다고 느끼는 것일 수 있습니다. 이럴 때, 먼저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후에는 왜 그 행동이 부적절한지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주세요. 그리고 그들의 감정을 존중하되 훈육이 필요한 점을 분명히 해주세요. 함께 문제를 해결하고 긍정적인 행동을 장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훈육시 아이가 부모를 째려보는 것은 훈육시 엄하게 하지

    않아 아이들이 보이는 행동입니다.훈육시에는 아이에게 단호한

    표정과 음성으로 훈육하시고 아이가 대들거나 째려보는 경우

    보다 강한 어조로 훈육하시어 아이들이 스스로 행동이 잘못되었음을

    인식시켜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잘못된습관은바로고치는게좋음

    훈육을하는건싫고미워서가아닌사랑하기때문에알려주는것을이야기해주고행동이잘못된걸수정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감정에 대해서 불편하거나 억울한게 있어서 그럴수도 있습니다

    아이가 지속적으로 그렇게 본다면 아이의 의견을 말해볼수있도록 이야기하는것이 좋으며

    그런것이 아니라면 잘못된 표현은 고쳐주는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훈육 도중 부모님을 째려본다면 그 즉시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굵은 목소리로 단호하게 엄마.아빠가 잘못된 부분을 짚어주는데 엄마.아빠를 째려보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세요.

    그리고 왜 엄마.아빠를 째려보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을 정확하게 해주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훈육하는 것은 정말 중요한 일입니다.

    다만 훈육할 때 화를 내거나 언성이 높아지는 것은 자제해야겠습니다.

    아이에게 부모의 감정을 이야기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기분이 좋지 않더라도 째려보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말하면 될 것 같습니다.

    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민주적 권위형' 양육태도가 친구 같은 아빠(엄마) 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흔히 버릇이 나빠지지 않을까 염려할 수도 있습니다.

    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민주적 권위형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잘 수렴합니다.

    또 아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타이르는 방식으로 훈육합니다.

    결국 아이는 정서 지능이 높아지고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하는 자율성과 판단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