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을 매매할때 계약금은 왜 10%인가요??
보통 집을 매매할때 집값의 10%를 계약금으로 걸어두는데요~
왜 매매할때 집값의 10%를 계약금으로 걸어두나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매매할 때 계약금은 10%가 법적으로 정해진 것은 아닙니다. 계약 당사자 간의 합의에 따라서 별도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일반적으로 서로 부담이 되지 않는 금액인 5~20% 범위내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10% 라는 금액이 매수인이나 매도인이나 가장 합리적인 가격으로 보는 수준이고 오래전부터 그렇게 해왔기에 관례적으로 10%를 책정합니다.
만약 10%가 아닌 다른 %로 계약금을 지불하거나 받고 싶다면 계약전에 그 부분에 대해서 협의하고 합의하면 다른 % 로도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딱히 특별한 이유는 없지만 거래 관행상 10%를 계약금으로 하고 있습니다.
계약금은 모든 계약에 일괄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개별 계약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당사자가 합의를 통해 계약금을 조절할 수도 있습니다.
즉, 계약금을 20%로 하는 것도 서로 협의만 된다면 가능합니다.
보통 집을 매매할때 집값의 10%를 계약금으로 걸어두는데요~
왜 매매할때 집값의 10%를 계약금으로 걸어두나요?
이유가 있나요?
==> 계약금 10% 거래관행은 오래 전부터 형성된 관습적인 사항이라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10%를 선정한 이유는 필요시 계약을 해지하는 경우 부담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결정된 사항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계약금은 꼭 얼마를 걸어야 하는것은 아니지만 관례로 10%을 걸고 또 협의로 적게도,많게도 할수 있습니다
계약은 약속이고 법적 구속력입니다
계약금을 걸고 계약을 해둬야 다른 사람한테 매도를 할수 없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다른 사람한테 매도를 할수있어서 본인이 맘에 드는집인데 놓칠수도 있습니다
계약을 하면 계약서대로 이행이 잘되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통상적으로 계약시 10%를 하는 것은 관례입니다. 매도인과 매수인사이에 협의로 5%나 20%로 해도 상관이 없습니다.
하지만 계약 파기 시 위약금이 계약금입니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10% 정도를 잡는 것입니다.
계약 파기시 매수자의 사정일 경우 계약금 포기를 매도자 사정일 경우 계약금 2배를 지급해야 하므로 10% 선이 딱 적당하므로 통상적으로 10% 선에서 계약을 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계약금은 거래의 신뢰를 높여주는 기능을 합니다. 매도자와 매수자가 서로 계약을 체결한 후 거래가 실제로 진행될 것이라는 의사를 명확히 표현하는 역할을 하는데 10%는 양측 모두 일정한 책임감을 부여하고 계약을 지킬 수 있는 경제적 부담을 제공하기 때문에 과거부터 10%로 관례적으로 정해진 듯 합니다.
10%는 오랜 시간 동안 부동산 시장에서 자리잡은 일종의 관례입니다. 대부분의 거래에서 10% 계약금이 사용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