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이모가 애기하고 같이 와서 잠깐 봐줬는데 자꾸 물건같은걸 입에 넣던데 왜 그런건가요?
이번에 오랜만에 이모가 애기하고 같이 놀러왔는데 잠깐 저에게 맡겨놓고 엄마하고 나가셔서 봐주고 있는데 자꾸 집히는것마다 입에다가 집어넣길래 왜 그런가 싶어서 물어봅니다
아기가 물건을 입에 넣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물건을 입으로 가져가는 습관은 이 시기 아이들의 매우 자연스러운 발달 과정입니다.
이 시기를 흔히 구강기라고 부르며 생후 4개월~ 돌전후까지 두두르지게 나타납니다.
입으로 가져가는 이유는
감각 탐색의 시작점, 인지 발달과 연결, 심리적 안정감, 호기심과 학습의 표현 등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기들은 빨기 욕구가 강합니다.
빠는 것으로 탐색하고 그 물건의 형태를 인식 합니다.
즉, 빠는 것으로 맛과, 생김새, 질감, 온도 등을 파악하는 부분이 큽니다.
이러한 시기를 구강기 라고 합니다.
구강기는 프로이트 발달의 1단계로 아기가 입을 통해 탐구하고 욕구를 해결하는 행동을 보이는 시기를 뜻힙니다.
아기가 빠는 행동을 보이는 것은 생존을 위한 기본적이고 본능적인 욕구 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기가 집히는 것마다 입에 넣는 행동은 정상적인 발달 과정입니다. 아기들은 손보다 입이 더 많은 감각 신경이 모여 있어, 만지는 것보다 입에 넣어보며 물건의 질감, 온도, 모양, 맛 등을 탐색합니다. 아직 손가락을 정교하게 움직이지 못하기 때문에 입을 통해 세상을 배웁니다.
안녕하세요.
아기들이 물건을 입에 넣는 행동은 발달 과정 중에 하나로, 세상을 탐색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손과 입을 통해서 사물의 촉감, 모양, 맛 등을 배우는 자연스러운 단계로 볼 수 있습니다. 보통 생후 4~18개월 사이에 가장 활발하게 나타나는 행동으로서, 특별하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작거나 날카롭거나 더러운 물건은 삼킬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 깊게 주변 환경을 정리해 주시기 바랍니다. 안전한 치발기나 부드러운 장난감을 주면서 입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도와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아기가 주변에 있는 물건을 입에 넣는 행동은 매우 자연스럽고 정상적인 발달 과정의 일부입니다
특히 생후 6개우러에서 2세 사이의 아기들은 감각 탐색을 통해 세상을 배우는데 , 이때 입은 가장 민감한 감각기관 중하나여서 손으로 만지는 것뿐 아니라 입으로도 물건을 탐색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시기의 아기들은 입을 통해 질감,온도,크기 등을 확인하며 주변환경에 대해 호기심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또한, 이 시기는 치아가 나기시작하거나 잇몸이 간지러워서 무언가를 물고싶어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기는 손보다는 입으로 세상을 탐색을 합니다.
그리고 치아가 나는 6개월~2세 사이에는 잇몸이 간지러워서 더 입에 넣으려고 시도를 합니다.
이때는 치발기를 입에 넣어주는 것이 좋겠죠.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기가 물건을 입에 넣는 건 자연스러운 발달 과정입니다. 특히 생후 6개월-2세 전후에는 손과 입을 통해 세상을 탐색하는 시기로, 입에 넣어보며 감촉과 모양, 질감을 배우는 겁니다. 또 이 시기엔 잇몸이 가려운 치야 발달기일 수 있어 입으로 자꾸 가져가는 행동을 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