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나이임에도 흰머리 (새치)가 나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요, 유전과 관련이 있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주변에는 젊은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머리에 새치가 나는 사람들을 볼 수가 있는데요
그런 사람들은 유전때문에 그렇게 나는 건지요 ? 아니면 고생하면 흰머리가 난다고 하는데
그렇기도 한지 궁금하네요. 20대때에도 그런사람들을 봤는데 10대때 중학생때 같은 반 친구도
머리에 새치가 있던게 생각이 나네요.
안녕하세요.
조기 발생하는 흰머리의 원인은 유전적 소인과 환경적 요인이 상호작용하는 복합적 과정을 통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유전적 요인은 특정 가계에서 세대를 거듭하며 나타나는 조기 백발의 경향을 포함합니다. 이는 멜라닌 생성과 관련된 유전자의 변이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한편, 환경적 요인으로는 스트레스, 영양 불균형, 특정 약물의 사용 등이 모발의 색소 세포에 영향을 주어 흰머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요인들은 모발의 멜라닌 세포의 활성을 감소시켜 젊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흰머리가 조기에 나타나게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흰머리의 발생은 개인의 유전적 배경과 생활환경이 결합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젊은 나이에 흰머리, 즉 새치가 나는 주된 원인 중 하나는 유전입니다. 가족 중에 일찍 새치가 나는 경향이 있다면, 유전적으로 영향을 받아 본인도 젊은 나이에 새치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스트레스, 영양 부족, 질병 등도 새치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유전적인 요인이 더 크게 작용합니다.
젊은 나이에 새치가 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말씀대로 유전적인 요인도 분명히 존재하지만, 그 외에도 여러 가지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우선 말씀대로 흰머리는 부모에게서 자녀에게 유전될 수 있습니다. 가족 중에 젊은 나이에 흰머리가 많았던 사람이 있다면, 자신에게도 흰머리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러나 과도한 스트레스도 멜라닌 세포의 기능을 저하시켜 흰머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장기간 스트레스에 시달리면 흰머리가 더욱 빠르게 늘어날 수 있죠. 그리고 균형 잡힌 식단을 하지 못하고 특정 영양소가 부족하면 멜라닌 생성에 필요한 물질이 부족해져 흰머리가 생길 수 있습니다.
게다가 갑상선 질환, 빈혈, 자가면역질환 등 특정 질병은 멜라닌 생성에 영향을 미쳐 흰머리를 유발할 수 있으며 요즘에는 흡연 또한 모발 건강에 악영향을 미쳐 흰머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고생하면 흰머리가 난다'는 속설은 과학적으로 증명되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스트레스가 흰머리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과도한 스트레스는 흰머리를 앞당길 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흰머리는 모발의 색을 검게 해주는 멜라닌 색소를 만드는 멜라닌 세포에서 멜라닌 색소 생성이 없어지면 발생하는데요, 보통은 나이가 들수록 모발에서 멜라닌 색소가 감소하는 것이 자연적인 노화의 현상입니다. 30세 이후부터 매 십년마다 흰머리가 발생할 위험은 최대 20%까지 증가합니다. 하지만 비교적 젊은 나이에도 흰머리가 발생할 수 있는데 여러 가지 요인이 관여하지만 유전적인 요인이 매우 크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만약 부모님이 이른 나이에 흰머리가 생긴 가족력이 있다면 나도 흰머리가 빨리 생길 확률이 높은데요, 특히 아버지 쪽에 흰머리가 생겼다면 어머니 쪽 흰머리 유전자보다 더 강하게 영향을 받을 확률이 높습니다. 이는 남자에서 흰머리가 나는 나이가 여자보다 빠르기도 하고, 흰머리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가 아버지 쪽에서 유전되기 때문이라는 설명도 있습니다. 또한 흰머리 발생에 있어 유전적 요인이 30%이고 나머지 70%는 나이, 스트레스 등의 외부 요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여겨지는데요, 스트레스, 흡연, 간접흡연, 불균형한 식단은 흰머리 발생의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 젊은 나이에 새치가 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부모님이나 조부모님이 젊을 때부터 흰머리가 있던 경우, 자녀도 비슷한 시기에 새치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가 쌓이면 호르몬 변화가 일어나고, 이는 멜라닌 세포에 영향을 미쳐 새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스트레스가 새치를 직접적으로 유발한다고 단정짓기는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한슬 수의사입니다.
새치의 경우 유전적인 요인으로 인해 나올 수 있지만 스트레스, 영양상태, 질병여부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선 전문가입니다.
새치는 보통 멜라토닌 부족으로 검정 머리가 하얀색으로 변하는 현상 중 하나입니다.
이는 유전적인 요소가 가장 크고 때에 따라 환경적인 요소와 생활 습관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어린나이에도 새치가 발견되는 것은 크게 스트레스, 수면부족, 영양 부족 등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로 인해 멜라토닌 합성 효소가 저해될 수 있고 수면부족으로 인해 멜라토닌이 많이 합성되는 저녁-새벽시간에 수면을 취하지 않아 멜라토닌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영양부족 역시 멜라토닌 합성 효소가 적게 만들어져 그럴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