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니 옆 어금니신경치료 많이 아플까요?
궁금합니다 어금니 옆에 사랑니도 매복이라서 좀 걱정되네요 사랑니가 완전매복이라 옆 어금니 신경치료가 조심스럽네요 치과가기전에 너무 궁금해서 질문합니다 답변해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장인아 치과위생사입니다.
신경치료란 치아 내부에 신경과 혈관이 들어있는 치수조직을 제거한 후 그 공간에 다른 재료를 밀봉하여 치아의 기능을 유지시키는 치료 입니다.
신경치료시 마취를 하기 때문에 통증은 너무 염려하지 마세요.
매복 사랑니는 발치 하는게 좋습니다.
인접치아의 치근흡수, 인접치의 이동, 악궁의 공간소실, 치아낭종 형성,매복 주변 부위의 감염 및 통증, 음식물을 씹을 때 매복치 주위에서 불쾌한 입맛, 림프절부종, 입을 열때 불편감, 턱 뼈의 통증, 두통 등을 유발 할수 있기 때문입니다.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건강하세요.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신경치료는 보통 3~4회로 진행이 되요
첫날은 신경관을 열어서 안에 있는 신경을 제거 합니다. 치아에 따라서 1~4개의 신경관이 있기 때문에 이 신경관을 찾아서 뿌리끝까지 길이를 재게 됩니다.
두번째날에도 신경을 제거 하는데 첫날에 신경을 많이 제거해 놓았기 때문에 남은 조직들을 더 제거 하고 첫날 못찾았던 신경관이 발견되거나 하면 그쪽도 청소를 하게 되요.
이렇게 신경이 제거되고 통증이 없어지게 되면 세번째 날에는 신경치료를 마무리 하게 되는데 청소하고 소독된 신경관에 치과약제를 채우고 마무리 하게 됩니다.
보통 신경치료는 첫날 많이 불편하지만 마취가 잘 되어 있다면 통증이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효상 치과의사입니다.
마취를 하시고 치료를 하시기 때문에
전날 술을 많이 먹은 상태거나 염증이 많은 상태등의 특별한 상황이 아니면
많이 아프진 않습니다.
참고로 신경치료의 핵심은 신경관의 소독입니다.
치아에 있는 신경관은 크게 원통형으로 되어있을것 같지만 실제로는 큰 원통형 주변으로 잔가지들이 많은 나뭇가지 같은 구조입니다.
큰 원통형 가지는 술자의 물리력을 통해 제거 할 수 있지만
잔가지들은 물리력을 통해 제거할 수 없어서 소독액(saline, NaOCl 등)으로 적셔지게 만듦으로써 소독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들이 한번에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여러번 내원하셔야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사랑니 때문에 사랑니 옆 어금니에 충치가 생겨 신경치료 까지 해야 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아마도 매복된 사랑니 때문에 어금니 뒷쪽에 충치가 생겨 신경치료 해야 하는 것 같습니다.
일단 매복된 사랑니 뽑아내고 어금니 신경치료도 같이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현 치과의사입니다.
신경치료는 사랑니의 존재와는 무관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물론 충치가 심한경우 발치해야할수도 있습니다.
신경치료는 마취를 하고 진행하지만, 염증이 심하거나 뼈가 치밀한 경우 마취액의 효과가 떨어져서 통증이 어느정도는 있을 수 있습니다.
신경치료시 아프다면 마취를 더 진행할 것입니다. 또한 개인마다 통증을 느끼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치료를 받으셔야 어느정도 알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마취만 잘되신다면 크게 아프거나 그렇진 않습니다. 오히려 입벌리고 있는게 더 힘들수도 있습니다. 염증이 있다면 마취가 잘안되서 통증이 올수 있지만 마취는 추가적으로 계속 하니 너무 큰 걱정은 안하셔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