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정신경염이 6개월 이상가나요?
작년 9월25일 코로나백신 접종
한달 뒤,,
작년 10월26일 새벽에 자다가
생전 처음으로 회전성어지러움이 왔어요
동네 병원
피곤해서 그렇다 귀에 이상없다,,,
피검사를 하니 철분이 부족
철분이 부족해서 어지러웠나
열심히 철분제 3개월 이상먹고
수치가 조금 올라왔는데
올 3월14일 또 새벽에 회전성어지러움
그래서 또 다른 동네 병원가서 검사를 하니
전정신경염이라고 하셔서 3주약먹고
괜찮나했는데 10일만에 잔잔한 어지러움
사실 어지러움이 잔잔하게 10월말부터
오늘까지 6개월넘게 계속,,,
오늘 대학병원 이비인후과 검사 예약하고 왔는데
뇌쪽검사도 해봐야할까요,,,???
전정신경염이 이렇게 오래가나요~~???
그리고 걷기가 회복에 도움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어지러움증의 원인은 크게 소뇌의 문제인 중추성 혹은 전정기관이라 불리는 달팽이관에서 발생하는 말초성 현훈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중추성 병변은 주로 뇌졸중 등으로 인한 뇌혈관 질환에 의해 2차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젊은 나이대에서는 흔하지 않습니다. 전정기관에 문제가 생기는 말초성 현훈은 주로 이석증이나 전정기관염, 메니에르 병등에 의해서 발생하며 이비인후과, 신경과 등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기립성 저혈압이나 특정 행위(대표적으로 배변행위)를 할때마다 실신이나 어지러움증이 발생하는 미주신경성 실신의 가능성도 있으므로 같이 감별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대부분의 어지럼증은 뇌 보다는 귀 속의 전정기관이나 반고리관에 염증으로 인해
발생하게 되며 전정신경염이 하나의 원인이 됩니다. 바이러스 감염이나 혈액 공급
이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빈혈 등도 원인이 됩니다. 이비인후과 검사에서
이상을 보이지 않는 경우, 비타민을 드셔 보는 것도 도움이 되지만 가능하다면
땀을 흘릴 정도의 조깅, 언덕 오르기 등의 운동을 통해 체력을 늘리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6개월이상 지속된다면 다른 원인도 고려해봐야합니다.
어지러운 증상은 여러가지 원인이 가능합니다. 이석증이나 전정신경염일 경우 갑자기 서있기 힘들 정도의 어지러움이 발생합니다. 이비인후과에서 진료를 받아 보시면 됩니다. 그 외에 뇌에 문제가 있어도 어지러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소뇌쪽에 경색이나 출혈이 있다면 균형감각에 이상이 생기면서 어지러움이 유발됩니다. 이럴 때는 신경과에서 진료를 보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염증이 적절하게 치료되지 못한 경우에는 증상이 남아있거나 재발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6개월 이상 가기도 합니다.
걷기가 회복에 도움이 되진않습니다.
다른 원인은 없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뇌쪽 검사를 진행해보셔도 됩니다.
어지러움은 만성적으로 지속될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전정신경염이 보통은 증상이 오래 지속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현재 어지러움 이외에 다른 신경학적인 증상이 없기때문에 뇌를 원인으로 보기보다 전정기관을 원인으로 보고 치료하신 상태이지만 증상이 이렇고 오래 지속된다면 뇌를 원인으로 생각하고 추가적인 검사를 해볼 수도 있는 상태입니다.
대학병원 이비인후과 진료 보시면서 이 부분을 이야기 하시면 신경과 협진을 보게 해주실겁니다.
전정신경염이라고 생각했을때는 걷기가 특별히 회복에 도움을 준다고 되어있지는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