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마다 깨서 3-4시간을 안자고 뒹굴거려요
일주일에 1-2번은 꼭 새벽에 대중없이 1-4시 사이에 깨서 3-4시간을 못 자고 뒹굴거립니다. 저는 놀아주면 안 될 것 같아 자는 척 하고 있는데 도통 잠에 다시 못 드는데 왜 그런지 모르겠어요ㅠ(잘 때 꼭 손을 빨고 자는 아이라 새벽에 깨서도 손을 계속 빠는데도 다시 잠에 못 듭니다)이제 25개월된 여자아이이고 밤잠은 어린이집을 다니면서 시간이 늦어져 10시 전후로 자고 기상은 7시 전후로 보통 합니다. 낮잠은 어린이집에서 1-3시까지 약 2시간 정도 자고 저녁은 6시에 먹고 7시에 목욕을 하고 8시에 방에 들어가 불을 어둡게 하고 책을 읽어주며 시간을 보내다 9시에 불을 끕니다. 그 시간까지 매우 눈이 말똥말똥하구요.. 자자고 하면 계속 책을 더 읽어달라고 합니다. 철분이 부족한가 싶어서 잠을 못자는건가 했는데 얼마전 폐렴으로 병원 입원해서 피검사 시 철분이 부족하진 않았습니다. 흑상추가 잠 자는데 좋다고 해서 자기 1시간 전에 먹이고 있는데 이것도 효과가 없는 거 같아요. 왜 자꾸 새벽마다 깨서 못 자는 건지 이유라도 알고 싶어요..ㅠㅠ
25개월 여자 아이가 새벽에 잠을 자지 않아서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수면의 환경적인 요인을 살펴보면 좋겠습니다.
잠을 자기 위한 수면 의식을 만들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매일 일정한 장소에서 일정한 시간이 되면 잘 준비를 하십시오.
잠을 자려고 누워서는 책을 한권 읽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모든 준비가 다 되었다면 집안에 있는 모든 전등을 소등하고 암막커튼 등을 이용해서 빛을 차단하는게 수면 유도에 효과적입니다.
그리고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휴대폰, 태블릿과 같은 기기는 다른 곳에 두는 것이 좋겠습니다.
매일 반복하다보면 아이도 익숙해질 것입니다.
전문가에 따르면 밤10시~새벽2시 사이에 성장 호르몬이 왕성하게 분비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 시간 이전에는 깊은 잠에 들어가야 키성장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잠자는 방의 실내 온도(20~22℃) 및 습도(50~60%)를 유지하는 것이 좋고,
방 안의 산소 공급을 위해서 공기청정기를 틀어놓는 것도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를 키우며 새벽마다 수 시간씩 깨어 뒹구는 모습을 반복해서 지켜보는 것은 부모로서 정말 지치고 마음이 힘든 경험일 것 같습니다.
아이가 잘 때마다 손을 빠는 습관까지 있는데도 쉽게 다시 잠들지 못하고 매번 밤잠 전에도 눈이 반짝이며 쉽게 잠에 들지 않는 모습에서 여러 가지 걱정과 답답함이 드는 것도 너무 이해가 돼요.
이미 철분 부족 등 건강문제를 점검하고 식습관·수면환경·루틴까지 세심하게 신경 써주셨음에도 상황이 나아지지 않아 더 막막하실 수 있습니다.
잠을 못 자서 생기는 피로가 가족 모두에게 부담이 되겠지만 그만큼 아이도 성장의 한 과정에서 겪는 일시적인 불안정일 가능성이 높으니 너무 자책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엄마의 노력과 애씀은 분명 아이에게 큰 힘이 되고 있으니 같은 고민을 가진 부모들도 많다는 점, 그리고 언제든 전문가와 상의하며 꾸준히 관찰해주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잘하고 계시다는 점을 꼭 기억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새벽마다 잠에서 깨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방 안의 온도가 습도가 맞지 않아서, 잠자리가 불편해서, 감기로 인한 질병으로 인해서, 스트레스로 인해서, 하루 중
안 좋은 경험으로 인한 불안함으로 인해서, 성장통 등 다양합니다.
우선은 아이을 유심히 살피어 아이의 불편함이 무엇인지 잘 케치 하여 아이의 불편함을 해소시켜 주는 것이
좋겠구요.
그리고 아이가 잠에서 자주 깨는 것은 심리적 + 정신적인 원인의 문제(스트레스와 하루 중 안 좋은 경험)도 있기 때문에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잘 돌보면서 아이의 심리적 + 정신적인 부분을 치유해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25개월 아이가 새벽마다 꺠서 다시 잠들지 못하는 이유는 발달적 요인, 수면 루틴, 정서적 습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철분부족은 아니라니 다행이고요. 대처방안으로는 취침시간을 30분-1시간 당기고 수면 루틴을 단순화 해주세요. 책읽기는 정해진 권수로 제한하고 이후에는 더 요구해도 응하지 않는 관성이 필요합니다. 새벽에 깼을때 지금처럼 자는척 해주시기 바랍니다. 낮에 활동량도 충분히 늘려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잠을 푹 자지 못하는 이유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스트레스에 의해서 잠을 자지 못할 수 있습니다. 아이의 건강상태를 먼저 점검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