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자가점유율과 자가소유율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
요즘 집값이 오를까 내릴까 하는 궁금증에 관련 너튜브 영상을 많이 보게 되는데요. 자가점유율과 자가소유율이란 말들이 나오더라구요. 어떤 차이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자가점유율과 자가소유율은 부동산 관련 용어로 각각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1. 자가점유율 : 자기 소유의 주택에 본인이 거주하는 가구의 비율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예로 자가점유율이 50%라면 전체 가구 중 절반은 자기 집에서 살고 나머지 절반은 전월세 등으로 임차하여 산다는 뜻입니다. 자가점유율은 주택가격 변화와 비례해 점유율이 높아지면 집값도 오르고 반대로 낮아지면 집값도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2. 자가소유율 : 자기 집을 소유하고 있는 가구의 비율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현재 전월세로 살고 있는 가구라도 자기 소유의 주택이 있다면 자가소유 가구입니다. 예로 부산에 집이 한채 있는데 서울에서 전세로 살고 있는 경우 이 가구는 자가 점유상태는 아니지만 주택을 보유하고 있어 자가소유 가구입니다.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자가점유비율은 일반가구중 자신이 소유한 주택에서 자신이 살고 있는 주택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또한 자가보유율은 거주여부와 관계없이 주택을 소유한 가구의 비율을 말합니다. 자가점유비율의 의미는 특정국가 또는 특정지역에 있어 주택재고가 그곳에 거주하고 있는 가구들의 수에 비하여 얼마나 부족한지 또는 여유가 있는 지를 총괄적으로 보여주는 주택보급률의 양적지표로서만의 기능의 한계점을 보완하는 역활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