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과감한바다사자249
과감한바다사자249

사춘기 아이들은 어떻게 캐어해야할까요?

아이들이 11살 10살입니다.

점점 초등학교 고학년으로 가면서 말대꾸도 많이 하고

짜증을 많이 내기 시작했습니다.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사춘기 아이들을 어떻게 케어해야 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사춘기가 온 아이는 제2차 성징을 경험하게 되면서 점차 성인의 몸으로 변해 갑니다.

    생리적으로는 성적 충동이 커지고 심리적으로는 성인처럼 행동해야 된다는 새로운 압박감에 시달리게 됩니다.

    더구나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까지 겹치게 되는 시기입니다.

    따라서 이 시기를 지나는 아이를

    겨울잠을 자러 들어간 곰이라고 생각하고 새봄이 되어 다시 동굴 밖으로 나올 때까지 기다려주면 어떨까 싶습니다.

    컨디션이 괜찮을 때는 '힘들지? 잘하고 있으니까 너무 걱정하지마' 등의 응원을 보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뭔가를 해주려고 하면 할수록 갈등과 감정의 골이 깊어질 수도 있으니 말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사춘기에 접어드면 예민하고 민감하기 때문에 감정이 소용돌이 처럼 움직일 것입니다.

    사춘기에 접어든 아이들과 제일 좋은 소통은 '대화' 입니다.

    아이들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들의 감정을 돌보면서 아이들과 이야기를 나누어 보세요.

    하지만 사춘기에 접어들었다고 해서 아이들이 말대꾸를 하는 행동은 그냥 지나치기 보다는 어른에게 말대꾸를 하는 행동은 옳지 않음을 알려주셔야 합니다.

    아이들이 말대꾸를 했다면 그 즉시 아이들의 행동을 제지 하시고, 아이들을 앉히고 아이들의 손을 잡고 아이들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하게 어른에게 말대꾸를 하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어른에게 말대꾸를 하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를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면 좋을 것 같네요.

    또한 자신들의 감정을 표현하고 싶다면 말대꾸를 하긴 보다는 어른의 이야기가 끝나고 난 후 그 후에 조심스럽게 조곤조곤 부드러운 말투로 자신의 감정을 전달할 수 있도록 지도를 해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사춘기 아이들은 신체적으로 감정적으로 큰 변화를 겪는 시기 입니다.

    이해와 공감으로 신뢰를 쌓아 주세요

    많은 대화를 나누기 보다는 믿고 나쁜 길로 빠지지 않도록 지켜봐 주세요

    언제나 힘들면 의지할 수 있고 열린 마음으로 대화할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 주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사춘기 아이들의 경우 부모님의 말을 듣지았고 반항을 할겁니다 그럴때 화내시거나 혼내지마시고 아이입장에서 이해하고 공감을 해주시면 좋을거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갑작스레 찾아온 2차성징으로 아이들은 자신의 신체적 변화와 감정적 변화에 굉장히 놀라고 당황스러운 시기입니다. 자신들이 처음 겪는 일에 혼란을 겪고 있기 때문이죠 이런 상황에서 부모님들은 아이의 상황에 대해 변화에 대해 이해해주시고 따뜻한 마음으로 하나 주셔야 합니다. 물론 부모님들께서도 당황스럽고 처음 겪는 일이라 혼란스러우시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아이들의 현재 변화된 모습을 존중해주시고 더 멋진 사람으로 성장해나갈 수 있게 뒤에서 든든하게 버텨주셔야 합니다. SNS와 편지를 통한 소통도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사춘기아이들은 이유없는 반항을 자주 합니다 그러니 아이의 감정에 공감해주시면서 아이가 반항하더라도 이해해주시고 넘어가주세요

  •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사춘기 초입인 아이들은 감정 기복이 클 수 있습니다. 인내심을 가지고 경청하며 대화를 시도하세요. 감정을 표현할 기회를 주고, 규칙을 함께 정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존중을 바탕으로 한 소통을 통해 신뢰를 쌓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사춘기의 아이의 변화를 일단 이해하려고 하되, 무례하고 버릇이 없는 행동에 대해서는 설명을 하여 용납할 수 없음을 단호히 이야기해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아이를 지지하는 조력자로서, 도움을 주고 싶다는 뜻을 밝히며 대화를 하여 꾸준히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