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

정부의 신도시 계획은 어떤 입지와 계획 조건으로 선정되는건가요?

정부는 그동안 1기 신도시 2기 신도시 그리고 3기 신도시까지 발표하고 현재 공급이 될수 잇도록 진행중입니다.

그렇다면 이 정부의 신도시계획과 공급은 어떤 입지를 조건으로 선정하고 어떤 점을 중점적으로 계획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영관공인중개사 입니다.

    신도시 계획은 서울집중화를 분산시키는데 목표가 있고 서울로 진입이 용의한 거리,교통등을 고려하고 규모나 세대수등은 수요와 공급 , 이주대책등을 통합하여 결정합니다.

  • 일반적으로 신도시는 수도권이나 대도시 주변에 위치하며, 교통 및 인프라 시설이 잘 발달한 지역이 선호됩니다. 또한, 자연환경을 보존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조건도 고려됩니다.

    신도시계획에서는 주거환경, 교육시설, 복지시설, 문화시설, 공원 및 녹지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도시계획이 수립됩니다. 또한, 신도시는 산업 집중과 일자리 창출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것도 중요한 고려사항입니다.

  • 정부가 추진하는 신도시 계획은 수도권 주택 시장 및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해 계획한 공공 주택 지구입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고려하여 선정됩니다. 수도권 지역 중에서 인구 분산과 지역 균형 발전을 고려하여 선정됩니다. 교통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어 접근성이 좋아야 하며, 주변에 산업단지나 대학교 등이 있어 일자리 창출이 가능한 곳이 선호됩니다. 일정 규모 이상의 면적을 확보해야 합니다. 인구 수용 능력과 인프라 구축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규모를 결정합니다. 주거, 상업, 공업, 녹지 등의 용도 지역을 구분하고, 도로, 철도, 지하철 등의 교통 시설과 학교, 병원, 공원 등의 생활 편의 시설을 계획합니다.

    자연환경과 생태계를 보호하고, 에너지 절약과 친환경적인 도시 개발을 추구합니다. 투자 비용과 수익성을 고려하여 경제적 타당성을 평가합니다.

  • 우선 신도시를 짓는 목적은 대규모 단지의 택지가 있어야 하고 전체 사업을 위해 전체 토지 비용 또한 저렴한 곳이 사업성이 좋습니다. 지금 신도시들을 건립할때 주로 외곽의 농촌지역 즉 아파트를 짓기 넖은 땅과 땅 값이 싸고 도심의 연결성도 우수한 곳을 위주로 많이 개발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