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여름날의여인
여름날의여인

기러기 떼가 하늘로 날아가는 게 보입니다. 세어보니 50에서 60마리는 될것 같은데, 일렬로 줄을 맞춰 날아갑니다. 어쩜 이렇게 횡렬로 즐을 맞추어 날아갈 수가 있을까요?

산길을 걷고 있는데 기러기 소리가 나서 쳐다보니, 기러기 떼가 하늘로 날아가는 게 보입니다. 세어보니 50마리에서 60마리는 될것 같은데, 일렬로 나란히 줄을 맞춰 날아갑니다. 어쩜 이렇게 신기하게도 횡렬로 즐을 맞추어 날아갈 수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기러기 떼가 일렬로 또는 V자 형태로 비행하는 현상은 항공 역학적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진화적 적응입니다. 이 비행 형태는 각 개체가 앞서 나는 새의 날개 끝에서 발생하는 소용돌이를 이용하여 얻는 상승 기류를 활용함으로써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합니다. 이는 '항력 감소(Drag Reduction)'라고 불리며, 앞선 새가 생성하는 공기의 흐름이 뒤따르는 새에게 상대적으로 낮은 저항을 제공하므로 비행 중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킵니다.

    또한, 이러한 비행 배열은 의사 소통 및 내비게이션을 용이하게 합니다. 각 새는 전방과 측면의 동료들을 쉽게 볼 수 있어 비행 방향과 속도를 조정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게 교환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긴 이주 경로에서 그룹의 일관성과 동기화를 유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기러기들은 다같이 멀리 날아가 개체수를 늘리고

    좋은환경에서 자라기위한 노력을합니다.

    맨앞에 선두에 서는 새는

    주로 체력이 많이 남아있고 튼튼한 개체가

    맡아서하는데, 시간이지나면 서로 교대를해가면서

    멀리 날아갑니다.

    이렇게 날아갈때는 소리를내거나 몸짓으로 신호를 보내며

    줄을 맞춰서 날아갑니다.

    이런식으로 날아가면 맨앞의 새가 공기저항을

    어느정도 받아주기때문에 효율적인 비행이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 기러기 떼가 줄을 맞춰 날아가는 이유는 공기 저항을 줄이고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입니다. V자 대형으로 날면 앞선 기러기의 날개짓이 만들어내는 상승 기류를 뒤따르는 기러기가 이용해 비행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이는 먼 거리를 이동하는 기러기들에게 매우 유리한 비행 방식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기러기는 비행 중 서로의 위치를 조절하며 V자 형태로 날아갑니다.

    이는 공기 저항을 줄여 에너지를 절약하고,

    서로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 진화적 행동입니다.

  • 기러기들이 일렬로 줄을 맞춰 비행하는 이유는 크게 에너지를 절약하고 소통을 위해서입니다.

    기러기는 장거리 비행을 할 때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V자 형태로 비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때로는 일렬로 비행하기도 하는데, 이는 앞서 날아가는 기러기가 만들어낸 상승 기류를 뒤따르는 기러기들이 이용하기 위해서입니다. 마치 자전거 선수들이 앞선 선수가 만들어낸 바람의 흐름을 이용해 체력을 비축하는 것과 비슷한 원리입니다.

    또한 기러기들은 서로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소리를 통해 의사소통하며 비행합니다. 이러한 협력은 무리 전체의 안전을 확보하고, 효율적으로 목적지까지 이동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기러기떼는 서로 항로를맞춰서 협력하여 비행을합니다.

    맨앞의 기러기는 뒤에있는 기러기에게 공기저항감소라는

    이점을 제공하고 맨앞의 기러기역할을

    교대하며 서로 협력합니다.

    서로 소리를내면서 의사소통하고 교대를하며

    목적지로 함께날아다닙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근필 수의사입니다.

    기러기 떼가 횡렬로 줄을 맞춰 날아가는 모습은 자연의 신비로운 질서와 협동의 결과입니다. 이들은 주로 'V자' 대형이나 일렬 횡렬로 날아가는데, 이는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고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앞서 날아가는 기러기의 날갯짓이 뒤따르는 기러기에게 상승 기류를 만들어주기 때문에, 뒤에 있는 기러기들은 더 적은 에너지로 날 수 있습니다. 또한 기러기들은 서로의 위치를 유지하며 날아가면서 소리를 내어 소통하고, 리더가 지칠 경우 교대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비행 방식은 무리 전체의 효율성과 생존을 극대화하는 자연의 놀라운 협력 체계를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