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지나치게다양한돼지국밥
지나치게다양한돼지국밥

과학 멘델의 유전법칙 대립형질 순종,잡종

대립형질이 다른 두 순종 개체를 교재하여 얻은 잡종 1대에는 대립형질중 우성형질만 나타난다는데..

대립형질이 다른 두 잡종 개체를 교배하면 어떻게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대립형질이 다른 두 잡종 개체를 교배하면, 멘델의 유전법칙에 따라 우성과 열성 형질이 일정한 비율로 자손에게 나타납니다. 대표적으로 잡종 1대(F1)끼리 교배하면 잡종 2대(F2)에서 우성형질과 열성형질이 3 대 1의 비율로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순종 노란색 완두(우성)와 초록색 완두(열성)에서 나온 잡종을 교배하면, 자손에서 노란색 완두가 75퍼센트, 초록색 완두가 25퍼센트로 나타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대립형질이 다ㅏ른 두잡종 개체를 교배하면 자손에서 우성형질과 열성 형질이 모두 나타날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3대1의 비율로 우성형질이 많이 나온답니다.

  • 안녕하세요.

    그레고어 멘델(Gregor Mendel)의 유전 법칙을 기반으로 설명하면, 대립형질이 다른 두 순종 개체를 교배하면 얻어지는 자손을 우리는 F₁세대라고 부릅니다. 이 세대에서는 우성 형질이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멘델의 실험에서는 이를 통해 우성의 개념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키가 큰 식물(A)과 키가 작은 식물(a)을 교배할 경우 모든 F₁세대의 개체들은 키가 큰 형질을 나타냅니다(우성). 여기서 A는 우성 형질을, a는 열성 형질을 나타냅니다.
    여기서, 대립형질이 다른 두 잡종(F₁) 개체를 서로 교배하면, 이들의 자손인 F₂세대의 유전적 구성과 형질의 표현은 다음과 같습니다. F₁세대의 개체는 모두 Aa의 유전자형을 가지게 됩니다. 이들이 서로 교배하면, 그 자손인 F₂세대는 다음과 같은 유전자형을 가질 확률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1. AA - 25% (키가 큰 형질)
    2. Aa - 50% (키가 큰 형질)
    3. aa - 25% (키가 작은 형질)

    여기서 AA와 Aa는 우성 형질인 키가 큰 것을 나타내고, aa는 열성 형질인 키가 작은 것을 나타냅니다. 즉, F₂세대에서는 대립형질 중 열성인 형질도 일정 비율로 나타나게 됩니다. 이 비율은 멘델의 분리 법칙에 따라 계산되며, 우성 형질과 열성 형질의 분리를 통해 각각의 형질이 어떻게 다음 세대로 전달되는지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 대립형질이 다른 두 순종 개체를 교배한 경우 모든 자손이 우성 형질만 나타냅니다.

    순종 개체는 특정 형질에 대한 유전자가 모두 동일합니다. 서로 다른 형질을 가진 순종 개체를 교배하면 자손은 두 가지 종류의 유전자를 하나씩 받게 되는데, 이때 우성 유전자가 열성 유전자에 대해 완전히 우세하기 때문에 우성 형질만 나타나는 것입니다.

    대립형질이 다른 두 잡종 개체를 교배한 경우 우성 형질과 열성 형질이 함께 나타나며, 특정한 비율로 분리됩니다.

    잡종 개체는 서로 다른 대립 유전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생식세포를 형성할 때 각각의 대립 유전자가 무작위로 분리됩니다. 따라서 F2 세대에서는 다양한 유전자 조합을 가진 개체들이 나타나고, 그 결과 우성 형질과 열성 형질이 함께 나타나게 됩니다.

    멘델의 유전 법칙에 따르면, F2 세대에서 나타나는 표현형의 비율은 일반적으로 우성 : 열성 = 3 : 1 입니다. 하지만 이는 완전 우성일 경우에 해당하며, 불완전 우성이나 공동 우성의 경우에는 표현형의 비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