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

우리나라처럼 후분양을 하는 나라가 더 있나요?

우리나라는 부동산(아파트)을 지을 때 먼저 돈을 입주할 사람들에게 받고 그 돈으로 건물을 올리잖아요. 혹시 다른 나라에서도 이런 방식을 채택하고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대부분의 나라는 선분양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후분양제를 도입한 나라는 많지 않습니다.

    선분양제는 주택이 완공되기 전에 입주자에게 분양하고 입주자가 납부한 계약금, 중도금, 잔금으로 주택을 건설하는 제도입니다. 이는 건설사의 금융비용을 절감 시켜주기 때문에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많은 나라에서 시행되고 있습니다. 반면에 후분양제는 주택을 거의 다 지은 뒤에 분양하는 제도로, 소비자가 주택의 품질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후분양제를 도입한 대표적인 나라로는 중국이 있습니다. 중국은 전체 사업비의 50%를 시행사가 가지고 있어야 사업 허가가 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미국, 일본, 유럽 등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선분양제와 후분양제를 혼합한 형태의 분양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 우리나라와 유사한 선분양 제도를 유지하는 나라는 미국, 호주, 홍콩, 일본등이 있습니다. 다만 세부적인 운영 사항이나 규정등은 우리나라의 선분양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보통 공통적인 부분으로 보는게 선분양은 통상 공정률 10~20%수준에서하는 경우로써, 공정률 80%이상일때는 후분양으로 구분한다는 점은 비슷하고, 외국의 경우 중도금이 존재하지 않고, 초기 보증금과 완공시 잔금으로만 구분되어 있다는점, 동일단지에 대해 선분양에 물량이 전체물량중에 일부로 한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이러한 대금지급방식이 가능한 것은 우리나라는 공사대금의 일부를 분양자의 대금을 통해 사용하지만 외국에서는 건설사가 건설비용에 바로 사용하는 게 아닌 제3기관에 예치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사실상 선분양을 하는 목적이 건축비 충당을 위한 것으로 인식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 아파트를 지을때 먼저 분양대금을 주고 중도금 주고 잔금 주고 입주하는 형태를 선분양이라고 합니다.

    선분양 제도는 우리나라만 있는 제도라고 합니다.

  • 우리나라뿐만아니라 미국,호주,홍콩,일본,싱가포르등 해외 여러나라도 선분양제도와 유사한제도가 시행되고는 있답니다

    다만 우리나라 선분양제도에 있는 중도금이 없고 전체줄량이 이난 일부 물량만 선분양 하는 식으로 나라마다 각각 차별되는 부분이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