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최고로자신감넘치는매실나무
최고로자신감넘치는매실나무

왜 어떤 사람은 거울을 보면 낮선 사람 같을까요

가끔 거울 속 제 모습이 낮설게 느껴져서 당황합니다. 이러한 현상이 심리적 또는 뇌 과학적으로 어떤 이유가 있는건지 궁금해요.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거울은 자신의 모습을 비추는 도구이지만 자기 모습이 보이는대로 비추기에 마주하고 있으면 좌우가 바뀐 모습이기 때문입니다. 즉 나의 오른편이 거울 속의 왼쪽의 모습이고, 나의 왼편이 거울속의 오른쪽의 모습이기 때문입니다.

    이해가 잘 안가신다면 거울을 향해 악수하기 위해 오른손을 내밀면 거울 속 내모습은 왼손을 내밉니다. 그로 인해 살짝 어색하게 보이는 거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문학이 아니라 심리상담에 물어보셔야 할 질문인 듯 합니다

    그나마 아는 것을 답변 드리자면

    Semantic Satiation( '의미 포화) 라고 해서

    '반복적인 신호가 계속 발생하면 신호에 대한 반응이 일시적으로 둔감해지면서 의미가 추출되지 않는 것'

    을 뜻하는 심리학 용어가 있습니다

    거울 속 자신의 얼굴은 일상적으로 자주 보는 얼굴이며

    대부분의 경우 거울을 보는 것은 몸단장을 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얼굴 전체보다는 눈,입, 머리카락 같은 일부 부위에 집중하게되고

    그 결과 각 부위의 모습을 너무 반복적인 시각자극으로 인식해

    얼굴 전체는 낯설어 지는 의미포화가 일어날 수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거을이란 존재는 정말 좀 어떻게 보면 신비한 존재의 소재로 많이 사용이 되었습니다. 그만큼 사람이 자기자신을 들여다보고 싶다는 이미 심리의 어떤 요인이 반영이 된 동기하에 거울을 본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심리학에서도 거울의 이미지는 100% 자기자신의 얼굴이 아니라, 어떤 자기자신의 심리상태에 의하여 그 반영이 다시 자기 머리로 인지되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 그 유명한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Alice in Wonderland의 작가 Lewis Carrol도 그 후속편으로 Through the Looking Glass [거울 나라의 앨리스]를 저술하였고, 역시나 거울속의 이미지 이런 것에 대한 신비함을 영감을 얻어 (우선 좌우가 바뀐것이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하겠습니다!!) 100년~ 150년이 이미 훌쩍 지난 지금에도 굉장히 명작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 작품입니다.

    특히, 재버워키/ 바다사자와 목수 등 주옥같은 명시들도 작품안에서 만날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라고 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태형 전문가입니다.

    겪고 계신 심리적 현상에 대한 것은 게쉬탈트 붕괴 이론으로 설명하곤 합니다. 자아의 붕괴로 자신이 낯설게 느껴지는 경우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우리가 매일 보는 거울 속 얼굴은 좌우가 바뀐 모습 입니다. 실제 얼굴과는 다를 수 밖에 없는데 이 좌우 반대 모습은 우리가 낳설게 느껴 지게 만들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원래는 내 눈이 왼쪽 눈에 쌍커풀이 있고 오른쪽이 없다면 , 우리는 거울을 통해서는 그 반대로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것 때문에 가끔은 우리가 약간 놀라게 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거울 속의 자신의 모습이 실제와 다르게 보이는 것은 시각적 반전, 얼굴 비대칭, 렌즈 왜곡, 실시간 조절 가능성 그리고 사회적 인식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이러한 차이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자기 인식과 자존감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