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용어

거창한레오파드265
거창한레오파드265

커버드콜이라는 용어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신문을 보다보니 커버드콜이라는 용어를 보게 되었는데요 이 커버드콜이 어떠한 개념인지 알고싶습니다. 알기 쉽게 풀어서 개념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권혁철 경제전문가입니다.

    커버드 콜(Covered Call)을 처음 접하면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많은 투자자들이 활용하는 전략입니다.

    쉽게 말해, 주식을 이미 보유한 상태에서 해당 주식의 콜옵션(매수권리)을 판매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A라는 주식을 보유 중이고, 이 주식의 가격이 크게 오를 가능성이 적다고 판단될 때, 일정 가격에 팔 권리를 옵션 형태로 다른 투자자에게 판매하는 겁니다. 이렇게 하면 옵션 판매 대가로 프리미엄(옵션료)을 받게 되어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있죠.

    보통, 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하지 않을 때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데 유리합니다. 시작하려면 보유 주식 중 안정적인 종목을 선정하고 옵션 시장에서 해당 종목의 콜옵션을 매도해보는 방식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커버드콜은 보유하고 있는 주식에 대해 콜 옵션을 판매하는 전략으로, 주식의 상승 잠재력을 일부 포기하고 그 대신 프리미엄을 수익으로 얻는 방식입니다.

    주가가 크게 오르지 않으면 안정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주식이 급등하면 그 상승분을 놓칠 위험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커버드콜은 주식과 옵션을 활용한 투자 전략으로, 주식을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추가로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입니다.

    더 자세하게 말씀드리면 내가 가진 주식을 기반으로 콜옵션이라는 권리를 누군가에게 판매해서 돈을 받는 전략입니다.

    콜옵션을 산 사람은 미래에 주식을 정해진 가격에 살 수 있는 권리를 가지게 됩니다.

    이런 커버드콜을 하는 이유는 내가 가진 주식으로 추가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주식을 그냥 가지고만 있어도 되지만, 옵션을 팔아서 옵션 프리미엄이라는 추가적인 돈을 벌 수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내가 A라는 주식을 100주를 가지고 있고, 주당 가격은 50달러로 가정하겠습니다.

    이 주식을 기반으로 "60달러에 팔 수 있는 권리"를 1주당 2달러에 판매합니다.

    이렇게 되면 저는 1주당 2달러 X 100주 = 200달러를 즉시 벌게 됩니다.

    앞으로 주식이 오르던 떨어지던 이 200달러는 나의 수익이 됩니다.

    만약 내가 가지고 있는 주식이 60달러 이하로 계속 머문다면 콜옵션을 산 사람은 권리를 사용하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나는 내 주식은 그대로 가지고 있고, 받은 200달러는 나의 추가 수익이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주식이 100달러가 되었을 경우, 나는 주당 60달러에 판매하는 조건으로 1주당 2달러를 받았기 때문에,

    주당 60달러에 판매를 해야 합니다.

    하지만 콜옵션을 무개한 사람은 100달러 짜리 주식을 60달러에 살 수 있는 것입니다.

    주당 40달러 - 2달러 = 주당 38달러 순이익을 얻게 되는 것이죠.

    정리하면, 커버드콜은 내가 가진 주식으로 추가 수익을 얻는 전략이지만, 주가가 크게 오를 때의 이익은 제한되는 투자방법입니다.

    안정적으로 추가 수익을 얻고 싶은 분에게 적합한 전략이라고 말씀드릴 수 가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커버트 콜(covered call)의 정의는 '주식과 옵션을 동시에 거래하는 것으로, 주식을 보유한 상태에서 콜옵션을 다소 비싼 가격에 팔아 위험을 안정적으로 피하는 투자 방식'으로 요즘처럼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는 유용합니다.

    주로 기초 자산인 주식의 가격 변동성에 따른 리스크 헷징을 위해서 콜옵션을 매도 하는 포지션을 취하게 됩니다.

    투자 자산인 주식이나 채권 가격의 상승 또는 하락의 반대 포지션을 취해서 수익과 손실을 제한하게 됩니다.

    아래 링크에 다소 쉽게 설명을 했습니다만 선물옵션의 구조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시간을 들여서 공부하는 게 필요합니다.

    https://www.tossbank.com/articles/coveredcall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커버드콜은 주식과 옵션을 결합한 투자 전략으로 투자자가 주식을 보유한 상태에서 해당 주식의 콜옵션을 매도하는 방식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커버드 콜이란 주식과 옵션을 동시에 거래하는 것으로 주식을 보유한 상태에서 콜옵션을 다소 비싼 가격에 팔아 위험을 안정적으로 회피하는 방식입니다. 커버드 콜은 시장이 상승기에 있을 때는 수익을 제한하기도 하지만, 하락기의 시장에서는 행사가격의 콜옵션을 매도해 얻은 프리미엄 수입으로 주가하락에 따른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커버드콜은 주식을 보유하면서 해당 주식의 콜옵션을 매도하는 투자 전략입니다. 커버드콜은 주식 가격이 크게 상승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유용한 투자 전략입니다. 주식 가격이 상승하면 콜옵션 매도 가격이 하락하여 손실을 입지만 주식 가격이 하락하면 콜옵션 매도 가격이 상승하여 손실을 줄일수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커버드 콜이라는 말은 주식 상품 등의 자산을 보유하면서 해당 자산의 콜옵션을 판매하는 투자 전략입니다.

    주가가 올라갈때 콜옵션 판매로 수익이 증가하지만 주가 상승은 제한이 있습니다.

    주가 하락할때는 손실을 콜옵션 판매로 얻은 수익으로 만회할 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커버드 콜은 상대적으로 콜옵션을 비싼 가격에 매도하여 이에 대한 프리미엄을 받아 투자자들에게 이 프리미엄을 분배금, 배당금 형태로 나누어 주는 투자의 형태로, 오를 때 덜 오르지만 떨어질 때 덜 떨어진다는 장점이 있는 투자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투자에서 사용되는 전략으로, 보유하고 있는 주식에 대해 콜 옵션을 판매하는 것입니다. 콜 옵션을 판매함으로써 투자자는 옵션 프리미엄(옵션 판매 대가)을 즉시 수익으로 얻습니다. 이 수익은 주식 가격이 상승하지 않거나, 행사 가격 이하로 유지될 경우 추가 수익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커버드 콜에 대한 내용입니다.

    커버드 콜이란 투자자가 특정 자산을 매수하게 되면

    동시에 특정 자산에 해당되는 콜옵셔을 매도하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특정 기초자산 매수/매도시에 해당 자산의 반대방향 풋/콜 옵션을 동시에 구매하여, 옵션거래로 인한 차익을 배당해 주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커버드콜은 ETF의 종류중 하나인데 먼저 이 ETF는 현물과 옵션을 동시에 매매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따라서 장점은 하락시에는 사두었던 옵션 효과로 인하여 남들만큼 가치가 더 폭락하지 않는

      장점이 있고 평소에는 옵션에서 발생한 수익으로 배당도 주는 ETF입니다

    • 반면에 큰 상승을 한다고 해도 옵션에 투자된 자산이 있기에 그 상승을 100% 따라갈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커버드콜은 기초자산인 현물을 매입하고 이에 상승하는 현물자산의 콜옵션을 매도하는 전략입니다

    이에 커버드콜 한국이나 미국의 해외 ETF는 보통 S&P500 지수나 나스닥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을 매입하고 이에 상응하는 콜옵션을 매도하는 전략을 취하는 상품입니다

    보통 월배당이 나오도록 월 기준일에 콜옵션매도후 발생하는 현금흐름 투자자에게 배분되고 기초자산인 지수상품은 시장흐름대로 수익률에 영향을 받으나 주가지수가 오를경우 콜옵션은 그 상승률에 손해를 보는 구조이므로 지수 상승률을 그대로 먹지못하고 일부만 수익이 나는 구조입니다

  • 안녕하세요.

    커브드콜이란 특정 자산을 매수하는 동시에 해당 자산의 콜옵션을 매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콜옵션 매도란 특정 자산을 특정 값에 살 수 있는 권리를 파는 것을 의미하며 커버드콜 전략은 변동성이 크다면 손실도 함께 확대될 수 있는 점 주의하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커버드콜은 보유한 주식에 대해 콜옵션을 판매하는 전략이고 주식 상승에 제한적인 이익을 얻는 대신, 콜 옵션 프리미엄을 수취하여 추가 수익을 얻는 방법입니다.

  • 콜 옵션이라는 것은 가격이 상승할 때 수익을 볼 수 있는 권리입니다

    그런데 평상시에 이 콜 옵션을 일부 팔아서 추가적인 수익을 얻고 그 수익으로 배당을 많이 해주는 상품입니다

    가격이 횡보할 때 가장 이득이고 가격이 많이 상승하면 그 상승분의 일부만 내가 묻고 일부는 콜옵션을 사간 사람에게 나눠주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윤민선 경제전문가입니다.

    커버드 콜 (Covered Call)은 주식 투자 전략 중 하나로, 투자자가 보유한 주식에 대해 콜 옵션(Call Option)을 매도(sell)하는 전략입니다. 이를 통해 주가 상승에 따른 수익 잠재력은 제한되지만, 옵션 프리미엄(옵션 매도로 받은 금액)을 통해 추가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1. 커버드 콜의 기본 구성

    • 기본 주식 보유: 투자자는 특정 주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콜 옵션 매도: 투자자는 보유 주식에 대해 일정한 행사가격(Strike Price)으로 콜 옵션을 매도합니다.

    예를 들어, A 주식을 100주 보유하고 있고, A 주식의 현재 가격이 50,000원이라면, 투자자는 A 주식에 대해 행사가격 55,000원짜리 콜 옵션을 매도할 수 있습니다.

    2. 수익 구조

    커버드 콜 전략의 수익은 크게 3가지 시나리오에 따라 달라집니다.

    (1) 주가가 행사가격 이하로 머물 때

    콜 옵션은 행사가격 이하에서는 행사되지 않으므로, 투자자는 보유한 주식의 평가손익과 옵션 매도로 얻은 프리미엄만큼의 수익을 얻습니다.

    예: 행사가격이 55,000원인데 주가가 50,000원에서 움직인다면 옵션은 무효(= 만기 소멸)되고, 투자자는 옵션 프리미엄을 수익으로 가져갑니다.

    (2) 주가가 행사가격과 같거나 약간 넘을 때

    주식 평가이익은 행사가격에 의해 제한되지만, 옵션 프리미엄이 추가적인 수익을 제공합니다.

    예: 주가가 56,000원이 되더라도 투자자는 행사가격(55,000원) 이상에서는 수익을 얻지 못하고, 옵션 프리미엄만 추가로 수익으로 남습니다.

    (3) 주가가 행사가격을 크게 초과할 때

    이 경우 투자자의 최대 수익은 보유한 주식의 평가손익(행사가격까지만)과 옵션 프리미엄으로 고정됩니다.

    예: 주가가 60,000원까지 상승하더라도 투자자는 55,000원으로 주식을 팔아야 하고, 옵션 프리미엄만 추가적으로 얻습니다.

    3. 커버드 콜의 장점

    1. 추가 수익 창출: 옵션 매도로 인해 일정 금액(프리미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2. 위험 완화: 주가 하락 시 옵션 프리미엄이 일정 부분 손실을 상쇄할 수 있습니다.

    3. 보수적 전략: 보유 주식의 가격이 큰 변동이 없거나 약간의 상승이 예상될 때 적합한 전략입니다.

    4. 커버드 콜의 단점

    1. 수익 제한: 주가가 크게 상승하더라도, 행사가격 이상으로는 추가적인 이익을 얻을 수 없습니다.

    2. 완전한 보호 불가: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할 경우, 옵션 프리미엄만으로는 손실을 상쇄할 수 없습니다.

    3. 복잡성: 옵션의 구조와 시장 상황을 이해해야 하며, 적절한 행사가격과 만기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커버드 콜의 활용

    • 안정적인 현금 흐름 창출: 주가 상승 가능성이 낮거나 보합세일 경우, 프리미엄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포트폴리오 관리: 보유한 주식의 하락 위험을 일부 완화하고, 추가 수익을 통해 보유 기간 동안의 비용을 보전합니다.

    6. 적합한 투자자

    • 주식을 장기적으로 보유하고 있으면서, 단기적으로 주가가 크게 상승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하는 투자자.

    • 주식의 일부 상승 가능성을 포기하더라도 추가 수익을 얻고자 하는 투자자.

    7. 사례

    A라는 투자자가 삼성전자 주식 100주를 70,000원에 매수했다고 가정합니다.

    현재 주가는 70,000원, 3개월 후 만기 75,000원 콜 옵션을 주당 2,000원에 매도합니다.

    투자자는 옵션 매도로 2,000원 × 100주 = 200,000원의 프리미엄을 얻습니다.

    • 시나리오 1: 주가가 75,000원 이하

    옵션은 행사되지 않음.

    투자자는 주식 보유 상태를 유지하며, 200,000원의 프리미엄을 수익으로 가져갑니다.

    • 시나리오 2: 주가가 75,000원 이상

    투자자는 75,000원에 주식을 매도해야 하며, 주당 2,000원의 프리미엄이 추가됩니다.

    최대 수익은 (75,000 - 70,000) × 100 + 200,000 = 700,000원으로 고정됩니다.

    8. 결론

    커버드 콜은 주식 보유 상태에서 안정적인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보수적인 투자 전략입니다. 그러나 주가 상승 잠재력을 포기해야 하므로, 이 전략이 적합한 시점을 잘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