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미분양으로 구분되는 주택의 기준이 뭔가요?
부동산을 보다보면 미분양이 있고 또 거기서 더 추가된 악성미분양이 있잖아요. 근데 여기서 악성미분양은 어떤 주택을 이야기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작년한해 동안 건설사가 30곳 이상 부도처리되어 5년만에 최다를 기록했습니다. 부동산 경기가 침체되고 악성미분양이 늘어나며 시장에 돈이 돌지않아서 PF자금이 경색되면서 자금난에 빠진 건설사들이 위기를 겪고 있습니다.
특히 지방에는 준공 후에도 미분양으로 남아있는 악성미분양이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있어서 지방 건설사들이 유동성 위기를 겪고있는데, 전체 준공후 미분양의 80%가량이 지방에 몰려있는 만큼 고금리와 대출규제가 계속되고 부동산 매수 심리가 살아나지 않으면 계속 경기가 나빠질 수 밖에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그냥 미분양은 어쩌다 몇세대가 미분양이 났을때를 말하고 악성미분양은 세대의 절반이상 분양이 안됐을때 악성미분양이라고 합니다
절반이상 불빛이 꺼져 있을때를 악성미분양이라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악성미분양은 준공이후에도 분양되지 않은 물량을 말합니다. 즉, 분양을 시작하고 미분양이 되었을 경우에는 일반적인 미분양이라고 하지만, 건물이 완공되고 실제 입주가 된 이후에도 분양되지 않고 그대로 남을 경우 악성미분양이라고 하고 이러한 물량의 증가는 단순 미분양보다 더 심각하게 인식되게 됩니다. 악성미분양이 발생한 단지는 그만큼 인기가 없다는 인식이 생기고 그에 따라 가치상승등에도 제한이 생길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악성미분양이란 보통 일정 기간 동안 분양이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물량의 30% 이상이 미분양 상태로 남아 있을 경우 이를 악성 미분양으로 간주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악성미분양으로 구분되는 신축아파트 기준은 준공 후까지 미분양이 지속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아파트 청약 후 아파트가 다 지어질 때까지 분양이 안되면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