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수요일
수요일

산업 현장에서 일을 하다보면 절단사고

성별
남성
나이대
43

산업현장에서 일을 하다보면 절단사고를 자주

보게 됩니다 안탑까운일이지만 구급차에 갈때 잘린

부분을 가져가면 대부분 접합수술은 가능한지 그리고

수술후에 부작용은없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권만순 물리치료사입니다.

    의료진 판단하에 절단 부위를 살릴 수 있다면 살린 후 접합을 할 것 입니다. 그러나 너무 으스러진 뼈나, 뭉게진 근육은 경우에 따라 접합을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수 물리치료사입니다.

    절단면이 깔끔하다면 접합이 가능할 수 있지만 그라인더로 인한 절단 사고처럼 절단면이 많이 손상된 경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수술에 성공해도 가동범위나 기능에 제한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재활에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창우 물리치료사입니다.

    제 시간내에 최소한의 오염으로 가져간다면 접합수술이 가능합니다.

    생리식염수에 적신 거즈로 감싸고, 비닐팩에 넣은다음, 비닐팩을 얼음이 담긴 냉장 보관용기에 넣어 보관한체 병원에 같이 가는게 좋습니다.

    다만 수술 후 100% 제 기능이 돌아오면 좋겠지만 아닌 경우도 있다보니, 빠른시간 / 오염도가 관건입니다.

    환자분들의 건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절단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절단부위를 보존하여 병원에 가져가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절단부위를 거즈나 깨끗한 천으로 감싼 이후에 비닐에 넣고, 아이스박스나 얼음에 감싸서 가져가는 것이 좋은 방법인데요, 이때 절단부위가 얼음에 직접 닿지 않게 하시는 것이 좋은 보관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규민 물리치료사입니다.

    절단사고가 발생했을 때 잘린 부분을 구급차에 가져가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잘린 부위를 적절히 보관하고 신속하게 병원에 전달하면 접합 수술의 기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절단사고는 매우 심각한 상황이므로 항상 안전 수칙을 준수하고 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응급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

    절단된 부위를 제때 병원에 가져가고 적절한 처치를 받으면 당연히 접합 수술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수술의 성공여부는 손상된 부위와 절단된 부위에 따라 다릅니다 깔끔하게 잘린경우는 가능한데 여러 상처가 많게 절단되면 수술이 어렵습니다

    접합 수술 후 부작용은 수술부위에 감염이 발생하거나 수술후 장기간 움직임이 없으면 혈전도 생길 수 있습니다

    수술 중에 신경이 손상되어 후유증이 남을 수도 있고 수술후에도 통증이 주기적으로 발생할 가능성도 높습니다

    그래서 수술 후에 재활치료가 가장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선 물리치료사입니다.

    저희 아버지도 선반인가 밀링인가 장비 다루다가 엄지손가락이 절단되었는데 바로 119 불러서 접합 하니 접합되었고 신경 모두 살아났습니다. 요즘 기술은 더 좋아져서 훨씬 잘 복원될겁니다 다만 절단 되면 빠른 조치를 취하는게 중요합니다. 얼음에 절단부위를 놓는다던가. 그렇게 잘 조치를 한다면 크게 문제 없을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소준헌 물리치료사입니다.

    어떻게 해서 가져가는지가 우선 중요한데, 절단 사고시 비닐 봉지에 절단 부위를 넣고 주변을 얼음으로 해서 한번더 비닐봉지에 넣어서 차갑게 해서 가져가시면 감염에 대해서 예방이 가능하며, 얼음으로 신진대사를 낮춘 상태로 가지고 간다면 접합시 좀더 덜 손상된 상태로 가능 하십니다.

    가장 주의해야할 점은 무엇보다 안다치시는게 제일 중요하죠.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우선 절단 사고가 나면 안되지만 사고가 난다면 즉시 119에 신고 후 절단 부위와 빠른 시간에 병원에가서

    재접합술을 하면 접합이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신경 손상, 혈전, 감염 등 부작용등이 나타날수있으며 기능적인 문제가 나타날수있습니다.

    상태에 따라 다르겠지만 최대한 빠른 시일내에 응급 처치 및 수술 작업이 필요하며 현장에서는 안전 관리가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절단된 신체 부위를 멸균된 색리식염수를 적신 거즈가 있다면 감싸시고 사실 생리식염수, 거즈가 없는 경우가 더 많을테니 깨끗한 봉지에라도 싸서 밖에 얼음으로 한번 더 감싸서 가져가시면 가장 큰 도움이 되겠습니다.

    뼈, 근육, 신경, 혈관등 얼마나 손상되었느냐에 따라 그리고 얼마나 빨리 병원에 갔는지에 따라서 접합이 가능한지 여부가 달라지겠습니다.

    수술후에 부작용은 ... 이건 수술을 해봐야 그리고 손상이 얼마나 심한지에 따라 신경이 돌아올 수 있는지, 접합한 혈관이 혈액순환 기능을 충분히 해줄 수 있을지 등에 따라서 크게 달라질 수 있는 부분이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아림 물리치료사입니다.

    절단 사고 시 접합 수술은 절단된 부위를 깨끗하고 신속하게 병원에 가져간다면 성공적으로 수술을 할 확률이 높습니다.

    수술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손가락이 절단되었으면 

    절단된 손가락을 깨끗한 거즈로 감싸고 비닐봉지로 밀봉한 뒤 절단 부위에 물이 들어가지 않게 얼음물에 차갑게 담가서 가면 좋습니다. 

    하지만 절단 부위가 손상이 되거나 깔끔하게 절단된 것이 아니라 찢어진 상태라면 수술이 더 어려워집니다.

    수술이 잘 되더라도 신경 손상 등이 있다면 감각 이상이 올 수 있고 기능적 제한이 올 수도 있습니다. 많은 경우 재활 치료가 필요합니다.

    절단 부위의 상태나 의료진의 기술 등 많은 변수가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골든 타임이 있기 때문에 사고 발생 시 최대한 빨리 병원에 가셔야 하고 절단 부위를 깨끗하게 보호해서 가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접합수술 같은경우 절단부위의 상태 및 시간이 중요합니다.

    절단 부위의 생리식염수로 적신 거즈로 잘 감싸서 아이스 박스가 있으시다면 비닐팩에 넣어서 아이스박스에 넣어서 보관하신 상태로 가져 가시는게 좋습니다.

    절단 부위가 얼음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는게 좋습니다.

    수술 후 부작용 방지를 위해 재활을 잘 받아주시는게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절단사고가난후 절단부분을 깨끗한 천에 감싸 얼음팩에 보관해 병원에가져간다면 접합수술을 할수있습니다 하지만 절단 시간도 중요한데요 절단후 6~12시간내에 수술을진행해야하고 상처부위를 관리하는것이 중요하기때문에 되도록이면 빨리 병원에 내원해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절단사고에서 잘린 부분을 가져가면 접합 수술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성공 여부는 절단된 부위의 상태와 시간에 따라 달라집니다. 수술 후에는 감염, 통증, 기능 저하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개인차가 있습니다 따라서 수술 후에는 전문의의 지시에 따라 적절한 관리와 재활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