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임금·급여 이미지
임금·급여고용·노동
임금·급여 이미지
임금·급여고용·노동
진실한날쥐20
진실한날쥐2024.01.29

이런 경우엔 연차수당 계산이 어떻게 되는 건가요?

2022년 12월 20일부터 2023년 1월 31일까지 하루 4.5시간 주4일 단기 아르바이트로 근무하다가 23년 2월부터 계약직으로 채용되어 24년 1월31일까지 근무 예정입니다.

연차는 계약직 시작 후 다음달(2023년 3월) 부터 받게 되어 총 11개의 연차를 받았고, 계약만료가 되는 이번달 급여 명세서를 보니 총 1년에 한해서만 연차가 계산되어 나왔더라고요.

인사팀에 여쭤보니 퇴직금 같은 경우는 알바기간이 계속근로시간으로 인정되어 같이 계산되어 퇴직금이 산정된다고 하셨는데 연차는 계약직 기간만 포함하여 계산되는 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인터넷이나 지인말로는 아르바이트 기간도 연차수당이 붙는다고 하던데, 지금까지 아르바이트 하면서 한 번도 연차수당을 받은 적이 없어 이 말이 정확한 사실인지 모르겠습니다. 이럴땐 연차수당 계산방식이 어떻게 되는지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

    사례의 경우 아르바이트 기간도 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므로 연차휴가규정이 적용됩니다.

    매월 개근시 2023년 1월 20일부터 1일씩 연차휴가가 발생하고, 2023년 12월 20일에 15일의 연차휴가가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1. 퇴직금 뿐만 아니라 연차휴가도 알바기간에 계속 이어서 발생을 합니다.

    2. 따라서 질문자님의 경우 23년 12월 20일에 15개의 연차가 발생하였습니다. 만약 미사용하고 1월 31일에 퇴사를 한다면

    미사용 연차수당 15개가 지급되어야 합니다.

    3.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인도 노무사입니다.

    1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인 근로자가 근로기준법 제60조에서 정한 요건을 갖추어 근로를 제공한 경우 회사는 근로자에게 연차휴가를 부여해야 하며, 이를 기한 내에 사용하지 못하면 회사는 특별한 사정(포괄임금제 등)이 없는 한 근로자에게 미사용연차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

    아르바이트 기간도 연차를 산정하여 부여하여야 합니다. 다만 통상근로자에 비하여 근로시간이 짧은 단시간 근로자는 통상근로자의 근로시간에 비례하여 부여합니다.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위 사실관계만으로는 명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알바에서 정규직으로 전환 시 별도의 채용절차를 거치거나 다른 업무로 전환된 것이 아니라면 계속하여 근로를 제공한 경우 최초 알바로서 입사한 날부터 계속근로기간을 기산하여 연차휴가 및 퇴직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단기 아르바이트로 일한 기간도 주 15시간 이상 근로했으므로 연차휴가가 적용됩니다. 노동청에 신고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