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관대한도롱이227
관대한도롱이227

18개월된아기가 땅만계속보고빠르게걷다가

18개월 된

남자아인데요

걸을때 뛰다시피 땅 만보고 걷 다가 눈 흘김처럼 볼때도 있거던요

눈 흘김이 자폐랑 연관이 있나요

아직 말윤 못 해도 의사소통 은. 다되구요

인지능력도 있거던요

챜도 곧잘 읽어달 라구 하구요

걱정 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특정 행동을 반복하거나 대화시 눈을 마주치지 못하는

      경우 등은 자폐증상을 의심해볼수 있습니다. 인지능력이나 다른 능력에 문제가

      없다면 너무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대신 가까운 병의원을 방문하여

      정확히 진단받아보시는 것이 가장 빠른 해결책입니다.

      참고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눈을 옆으로 흘긴다면 자폐보다는 사시의 증상일 수 있기 때문에 안과에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선은 아이의 눈흘김 한 가지 증상만 보고 자폐스펙트럼 증상이라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가 호명반응이 잘 되고 눈맞춤이 잘 된다 라고 한다면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아이에게 눈을 예쁘게 떠야해 그래야 우리 00의 얼굴이 예뻐보이는거야 라고 부드럽게 말을 해주시면서 아이의 눈흘김의 행동습관을 지도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눈 흘김은 자폐와 상관이 없는 것 같습니다.

      눈 흘김은 습관성인 것 같습니다

      아이가 눈을 자주 흘긴다면, 예쁜 눈을 할 수 있도록 알려줘야 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폐증상 으로는 부모나 가족들,또는 아는 사람이 접근 했을때 웃는 경우가 드물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눈을 흘기는 현상은 보통 아이가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에서는 불안한 행동을 통해 스스로를 위안하며 불안을 해소하려는 행동으로서 습관적으로 굳어져 왔을 수 있습니다.

      아무 이유 없이 습관처럼 눈을 자주 흘긴다면 안과에서 검진을 받아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호명 반응이 안되거나, 눈 마주침이 전혀 안되거나, 상호작용이 안되면, 병원에서 상담을 해 보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현재증상만으로 자폐라고 보기는 어려우며 아이의 발달상

      크게 문제가 없다면 단순히 하나의 징후만으로는 걱정하지 않아도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