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궁금한질문쟁이
궁금한질문쟁이

현시점에서 미국 금리인하 가능성은?

올해 2025년 들어 미국 달러의 금리를 낮출 가능성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최근 취임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부과를 언급하면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있는데요

올해 들어 미국은 언제쯤 금리를 낮출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2025년 1월 현재,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금리를 동결하고 있으며, 올해 금리 인하 가능성은 낮게 평가되고 있습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재집권으로 인한 관세 인상과 감세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우선 공식적으로 올해에는 미국이 금리를 2차례인하한다고 밝혔습니다

    • 다만 1월에 발표된 지표상으로는 현재 미국의 경제가 고개를 숙이고 있는 단계에 있기 때문에

      앞으로 더욱 공격적으로 움직이지는 못할 것이라는 점에 있습니다.

    • 미국은 금리를 올해 2회에서 3~4회로 금리를 인하 스케쥴을 좀 더 확장할 가능성은 있다고 보입니다

    • 따라서 트럼프 취임 이후 첫 FOMC인 다음주가 중요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올해는 미국기준금리 인하 스탠스는 4번 이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파월의장은 트럼프와 달리 물가가 다시 상승압박과 예상보다 견조한 경제지표가 수요인플레이션을 자극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에 상반기는 한번 하반기에 한번정도 금리인하가 시장 대다수의 컨센서스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작년 11월까지만 해도 미 연준에서 2025년에는 금리 인하를 4차례 계획하고 있다고 발언하여 투자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했습니다. 하지만, 생각보다 빠른 경제 회복 및 성장으로 물가 상승 우려가 커지자 올해 금리 인하 계획을 2차례로 감소시켰으며, 상황에 따라서 금리인하를 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경제가 예상보다 더 둔화되면, 연준은 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를 낮출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미국 경제의 전반적인 성장률이 견고한 편이라 금리 인하가 즉시 일어날 가능성은 적습니다.

    인플레이션이 계속해서 높은 수준을 유지하거나 급격히 상승할 경우, 금리 인하는 더 늦춰질 가능성이 큽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부과하면서 인플레이션 압박이 커질 수 있는데, 이는 연준의 금리 인하를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고용 상황이 개선되거나 안정될 경우, 연준은 금리를 낮추는 것에 대한 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용 시장이 여전히 타이트하다면 금리 인하가 급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미국과 같은 경우 인플레이션 우려도 있으며

    더불어서 고용이 상당히 견고하기에 금리인하가

    없을 수 있으며 그 정확한 시점은 아무도 알 수 없으니

    참고하시길 바라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를 예측하는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트럼프정부는 경제를 활성화 시키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높지만 확실하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2025년 상반기는 현재 금리와 동결될 가능성이 높으며

    2025년 3분기 부터 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이 높다라고 생각합니다.

    도움 되셨길 바라며, 설 명절 잘 보내세요 ^^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현시점에서 미국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미국은 2025년에도 기준 금리 인하를 하긴 할 것입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원하는 수준과 빠르기로 할지는 미지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