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박식한황로156
박식한황로15623.03.25

어려서 이불에 오줌을 싸면 옆집가서 소금 받아오라고 시켰는데 왜 그런건가여?

어려서 오줌을 이불에 싸고 나면 할아버지께서 키를 뒤집어 씌우고 옆집에 가서 소금을 받아 오라고 시켰던 기억이 나는데 왜 그런 풍습이 있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25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오줌을 싸면 키를 씌워 동네 사람들에게 소금을 얻은 풍습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풍습은 오줌싸는 고질병과 관련이 있습니다.

    오줌을 싸는 이유는 몸이 허약하여 생리조절을 잘 하지 못하는 데 있습니다. 그런데 전통사회에서는 몸이 허약하다는 것은 귀신이 아이한테 붙어서 그렇다라는 생각들이 지배적이었습니다. 대체로 아이들이 허약하면 점쟁이를 찾아 점을 치거나 무당을 불러 점을 쳤습니다. 하지만 무턱대고 점장이와 무당을 찾은 것은 아닙니다. 먼저 부모는 아이에게 키를 씌우고 소금을 얻게합니다. 이러한 의미는 키와 소금에 관련되어 있습니다. 소금은 부정을 물리치는 의미의 뜻에서 정화를 상징합니다. 전통사회에서 무당이나 점쟁이는 소금을 뿌려 잡귀가 근접치 못하도록 하였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처방으로 오줌싸는 것을 막지 못할 때에는 점쟁이에게 물어봅니다. 이 때 점쟁이는 처방을 내려주는데 이것도 소용이 없을시에는 무당을 불러

    굿을 합니다. 그렇듯이 아이에게 소금을 얻게 하는 것도 일종의 잡귀를 물려 아이가 건강하라는 주술적인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키는 아이가 오줌싸개라는 것을 동네사람들에게 알린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아이에게 붙어있는 잡귀가 키의 구멍을 세아리다가 힘들면 떨어질꺼라는 주술적인 의미가 내포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전통사회에서는 허약한 아이의 병인 오줌싸는 것은 잡귀와 연관되어 나타나는 일종의 병으로 인식하여 키와 소금을 얻어 오도록 한 것입니다.이처럼 전통사회에서는 민간요법으로 키와 소금을 얻게 했으며, 그 후 점쟁이와 무당을 통해 병을 고치려 했던 것입니다.


  • 50대 이상은 이런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우리 민족이 아이를 양육하는 하나의 해학적 방법일 것입니다.

    아이에게 키를 씌우고 바가지 하나 들려보내 소금 얻어오게 하면서

    아이를 야단치는 방법에 지혜가 있습니다.

    곡식을 까부는 도구의 용도와 같이 알곡처럼 성장하기를 바라고,

    소금을 얻어오라는 것은 속음(속이는 말, 소금)으로

    아이는 자신이 말하지 않아 창피함을 느끼지 않으면서

    소금처럼 정화를 이루는 아이로 성장하게 만드는 선조들의 지혜인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소금이 향균작용과 표백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불을 빨때 세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였으며 또다른 이유는 아이가 오줌을 싸지 않도록 각인시키기 위한 하나의 교육방법이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정욱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과거에는 오줌을 이불에 싸는 것이 일상적인 일이었습니다. 이유는 화장실이 없던 가난한 집안에서는 오줌을 싸는 것이 일상적인 필요사항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불에 오줌을 싸면 악취가 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오줌을 싸면 이불을 향하게 놓고 자는 사람의 키를 뒤집어 씌웠습니다. 이불에서 나는 악취를 방지하기 위해 소금을 사용한 것도 이와 같은 이유입니다.

    하지만 현재는 화장실이 보편화되면서 이러한 풍습은 사라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그 당시에는 소금이라는 자체가 귀하기도 했었고

    소금이 또 악귀를 물리치는 용도로 사용을 하였기 때문에

    키를 쓰고 소금을 받으러 다니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어렸을 때 오줌을 이불에 싸서 방치하게 되면, 오줌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 기체가 이불에 스며들어 냄새를 일으키게 됩니다. 이러한 냄새는 옆집에 살고 있는 이웃들에게도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웃들과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오줌을 싼 이불을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소금으로 닦는 것입니다. 소금은 오줌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를 흡수하여 냄새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옆집 이웃들에게 소금을 빌려 닦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