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어쩌라구요
어쩌라구요

서울 서초아파트 반토막났다고 하네요.

안녕하세요.누구보다입니다.

아니 지방만 집값떨어지고 서울은 오르고있다고 들었는데 이게 뭔일인가요.

서초아파트반토막이라는데 허..기회인지 이제 부동산은 돈이안되는건지..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기사를 조금 잘못 보신듯 합니다. 기사등에서 말하는 반토막은 실거래가 반토막이 아니라 최고가 거래가건수가 이전 달보다 반으로 줄었다는 이야기 입니다, 쉽게 정부 대출규제 영향으로 인해 거래량이 줄어들었고 그에 따라 최고가의 매수건수도 줄었다는 의미로 보시면 됩니다. 주택가격이 반으로 하락했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관련한 기사는 항시 자극적인 것 같습니다. 반토막은 맞습니다만 거래금액이 아니라 거래량이 반토막으로 줄어들었다는 것입니다. 서울아파트 실거래가지수가 올해 처음으로 하락했다지만 9월에 전월보다 0.01% 하락한 것으로 실제 하락이라기 보다는 보합으로 보는 것이 맞을 것입니다. 이는 금리가 생각처럼 빠르게 떨어지지 않는데다가 정부에서 은행을 압박하여 주담대가 축소되고 DSR 2단계가 되기전에 가수요가 발생하다보니 DSR 이 적용된 후 수요가 줄어든 영향도 있는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초동 아파트가 떨어졌다는 것이 아니라 거래가 반토막이 났다는 얘기 같습니다

    물론거래가 없으면 가격은 떨어질수 있지만 아직은 그리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대출한도 규제를 하고 있어서 지금은 관망 상태인데 상급지 이동은 어제든지 이루어질수 있습니다

    더 지켜봐야 할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의 아파트 가격이 거래절벽으로 집값이 내릴 수 없다는 집주인과 정부의 공급대책 효과를 기대하는 매수인간의 힘겨루기가 본격화 하는 분위기 입니다. 최고가 거래와 적게는 수 천만원, 많게는 1억원 내린 거래가 동시에 이뤄지며 혼돈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서울 집 값이 그 동안 상승 국면에서 조정 국면으로 들어간 것 같습니다.

    매물이 쌓이고 있는 상황으로 봐서 앞으로 조정 국면이 길어질지 지켜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 서초 아파트 가격이 반토막 난 것이 아니라 대출 규제 여파로 서울 아파트 최고가 거래 비중이 5개월 만에 줄어 들었고, 특히 서초구와 은평구의 최고가 거래 비중은 한 달 전보다 절반 이상 급감했다는 뜻입니다.

    즉 대출 규제로 인해서 거래가 줄어 들었다는 뜻입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시장은 여러 요인에 따라 복잡하게 움직입니다. 서울과 지방의 집값 차이가 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1. **수요와 공급**: 서울은 인구 밀집 지역으로, 직장과 교육 기회가 많아 수요가 높습니다. 반면, 지방은 인구 감소와 함께 수요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2. **정책 변화**: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나 금리 변화가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대출 규제나 세금 정책이 바뀌면 특정 지역의 집값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3. **경제적 요인**: 경제 상황이나 고용률, 산업 구조 변화 등도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미칩니다. 서울은 여전히 경제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4. **투자 심리**: 투자자들의 심리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서울의 아파트가 여전히 안정적인 투자처로 여겨질 수 있습니다.

    서초 아파트의 가격이 반토막이 났다는 이야기는 특정 사례일 수 있으며, 전체 시장을 대표하지는 않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 시장은 지역별로 다르게 움직이기 때문에, 투자 결정을 내리기 전에 충분한 정보와 분석이 필요합니다. 현재의 시장 상황이 기회인지 아닌지는 개인의 투자 전략과 목표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개인적인 소견으로는26~27년정도에 좋은 매수 시기로 보고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