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애기, 아기, 아가 로 파생된 이유가 무엇인가요?

흔히 영유아를 부를때 애기, 아가, 아기 등으로 부르는데요

사람마다 다 달라 가끔씩 그 이유가 궁금해지더라구요

어째서 애기, 아가, 아기 등으로 부르는지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언어가 분화되는 것은 당연한 현상입니다

    언어는 무슨 자연법칙이 아니라 인간이 인간을 위해 만든 인공적인 규칙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언어에는 사회성(여럿이 합의해서 인정된다),자의성(뜻에 상관없이 임의로 붙여진다), 창조성(누구나 만들 수 있다) 같은 특징이 있고

    그래서 인터넷으로 24시간 거의 실시간 대화가 가능한 현대에도

    각각 사이트 끼리 전혀 다른 은어를 쓰게 되는 것 입니다

    그러므로 한가지 단어가 지역마다, 세대마다

    심지어 개인마다 다른 발음으로 읽히는 것은 매우 당연한 현상입니다

    하지만 이런 언어분화를 그냥 놔두면 순식간에 대화가 불가능해 질 수 있기 때문에

    국민끼리의 결속을 위해서 표준어 라는 기준을 학교에서 가르치는 것이며

    현대 한국 표준어기준으로는 "아기"와 그 변형으로 "아가" 가 표준어로 인정되고 있습니다

  • 젖을 먹는 시기의 어린아이를 뜻하는 말의 표준어는 '아기'입니다. 부모나 시부모가 나이 어린 딸이나 며느리를 부를 때 쓰는 말이기도 합니다.

    '아가'는 이러한 '아기'를 부를 때 쓰는 말로 '아기야~'아는 말이 축약되면서 하나의 단어로 '아가'라고 된 것으로 보입니다.

    '애기'라는 말은 비표준어입니다. 하지만 식물의 이름에 붙여져서 애기풀, 애기똥풀, 애기별꽃 등에 사용되어지고 있습니다.

  • '아기'는 주로 사람에게 관계될 때 쓰이는 말이고, ‘애기’는 주로 사람이 아닌 식물이나 동물을 일컬을 때 써야 어울리는 말이라고 합니다. '아기'와 '아가'가 표준어입니다. '애기'는 '아기'의 비표준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