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 아이는 왜 말을 안들을까요??
초등학생 아이는 왜 말을 안들을까요
저학년까진 참 착했는데 점점 고집도 쎄지고 자기 멋대로에요
어떻게 지도해야할까요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초등학생 아이가 말을 듣지 않는 것은
아이도 자신의 감정의 대한 호불호가 명확하기 때문 입니다.
또한, 아이가 사춘기에 접어드는 시기 이기도 하기 때문에 사춘기에 접어들었다면
감정이 예민하고 민감함이 폭발하여 예전과 다른 모습을 보이면서 때로는 반항을 하고, 부모님에게 말대답을 하고,
고집도 부리면서 자기 뜻대로 하려는 경향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원인은 스트레스로 인한 자기 감정 조절의 부분이 잘 되지 않아서 이기도 하기 때문에
부모님은 아이의 시선으로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고,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보면서 대화적인 소통을 통해 아이의 감정을 다스려 주는 부분이 필요로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초등학생 아이가 말을 잘 듣지 않는 것은 성장 과정에서 독립심과 자기주장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고집과 자기주장은 자연스러운 발달 현상으로 받아들이고, 감정을 공감해 주는 것이 먼저입니다.
규칙과 한계를 명확하게 제시하되, 선택권을 주어서 아이가 책임감을 느끼도록 하면 협조가 늘어납니다.
일관성 있는 지도와 긍정적인 강화, 작은 성취 경험을 통해 점차 순응과 자기 조절 능력을 키워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초등학생 아이가 말을 잘 듣지 않고 고집을 피울 때 어떻게 지도를 해야 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자기 정체성 형성의 시작, 인지 능력의 발달, 또래 관계의 영향, 감정 조절 능력의 미성숙 등이 이유입니다.
지시보다는 대화를 중심으로, 일관된 규칙과 경계 설정, 긍정적 행동 강화, 감정 조절을 함께 배우기, 자율성과 선택권 부여를 염두하고 지도하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초등 저학년 아이는 자율성이 커지면서 고집이 생기고, 자기 의견을 표현하려는 시기입니다. 명령보다 선택권 제공과 이유 설명이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A를 할래, B를 할래?'처럼 선택을 주고, 행동 후 결과를 자연스럽게 경험하게 하면 협조가 늘어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