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서울 수도권 주택시장과 전세는 오르는데 전국 미분양착공건수는 최대로 증가하는 배경이 무엇인가요
올해 서울과 수도권의 부동산 주택시장은 지속 상승 추세이며 전세가도 마찬가지인데요
그런데 이와 반대로 전국 미분양착공건수는 2000년들어서 사상 최대로 증가하는 배경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주택가격이 상승하고 있는 것이 부동산 시장 전반의 회복세로 보기 어렵다는 점이 있고, 현재 고물가에 따른 분양가 상승의 문제는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사실 부동산 시장이 회복이 된다고 해도 이미 오른 건축공사비용이 내려가는 것도 아니기 떄문에 현재 지방부동산등을 제외한 수도권 내 아파트 가격상승세만으로 미분양착공건수가 줄어들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아무래도 지방의 소도시들은 인구감소와 가구수 감소로 인해 수요보다 공급이 많은 것이 원인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임대차3법 2+2년 만기로 임대인들이 3년치 임대료를 반영해서 전세보증금이 상승을 하고 또한 수도권에 인구가 쏠리고 또한 수도권은 2024~2027년까지 공급부족이라고 하고 금리인하의 기대감도 있고 하니 수도권은 수요에 비해 공급 부족으로 부동산가격이 슬슬 상승을 하고 있는데 지방은 반대로 인구소멸이 가속화하고 공급 물량은 많아서 미분양나는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 및 수도권과 지방의 미스매치로 인한 미분양이 발생되는 것 같습니다.
분양도 되는 곳은 잘되고 안되는 곳은 잘 안됩니다.
분양 시장도 양극화 되고 있습니다.
참고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신기백 공인중개사입니다.
올해 서울과 수도권의 주택시장과 전세 가격이 상승하는 반면, 전국 미분양 착공 건수가 증가하는 현상은 여러 요인에 기인합니다.
첫째, 지역별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이 있습니다. 서울과 수도권은 높은 수요로 주택 가격과 전세가가 오르지만, 지방은 인구 감소와 경제적 활동 둔화로 수요가 낮아 미분양이 증가합니다.
둘째, 부동산 정책의 영향입니다. 서울과 수도권의 과열을 억제하기 위한 정부의 규제가 지방 시장에도 영향을 미쳐 수요를 감소시키고 미분양을 초래합니다.
셋째, 건설 경기와 개발 계획의 차이입니다. 서울과 수도권은 재개발이 활발한 반면, 지방은 개발이 부족해 미분양이 발생합니다.
넷째, 금리와 금융 환경의 변화입니다. 금리 인상으로 대출 부담이 커져 주택 수요가 감소하고, 이는 특히 지방의 미분양 증가로 이어집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변화와 인구 구조의 영향입니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인구 감소와 청년층의 수도권 집중 현상이 지방 주택 수요 감소로 연결되어 미분양이 늘어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