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환율이 언제쯤이면 진정될까요?
환율이 상승하면 외화부채를 가지고 있는 기업들은 큰 어려움을 겪는데요. 현재 1400원대 중반대의 환율이 다시 낮아지려면 얼마나 시간이 지나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달러 환율이 안정되려면 글로벌 경제 상황, 미국의 금리 정책, 한국의 경제 성장률 등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예측하기 어려우나, 금리 인상 속도가 둔화되거나 경제 불확실성이 완화될 경우 환율이 진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환율의 단기 변동성을 고려할 때 단기간 내 큰 변화는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외화 부채를 가진 기업들의 어려움은 물론이고, 수입 물가 상승 등으로 우리 경제 전반에 부담이 되는 상황입니다. 안타깝게도 정확히 언제 환율이 안정될지는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환율은 매우 다양한 요인에의해 복합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미국 인플레이션이 끈적하게 유지되면서 연준이 추가적인 금리 인상을 단행할 수 있다는 전망이 달러 강세를 부추기고 있습니다. 금리 인상은 일반적으로 달러의 매력을 높여 환율 상승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뚜렷하게 둔화되고 경제 성장세가 꺽이면서 연준이 금리 인상을 멈추고, 나아가 금리 인하로 정책 방향을 전환한다면 달러 약세 요인이 될수 있습니다. 다만, 현재로서는 미국의 금리 인하 시점이 불확실하며, 시장에서는 빨라야 2025년 하반기 이후에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조심스럽게 전망하고 있습니다.
원/달러 환율은 1,400원대 중반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외화부채를 보유한 국내 기업들에게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현재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한, 환율이 단기간에 크게 하락할 가능성은 낮습니다.
한국은행에서는 원/달러 환율이 과거 수준으로 돌아가기 어려울 것이라고 언급하며, 시장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크다고 평가하고 있어서 대내외적으로 환율이 다시 낮아지기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달러 환율이 언제쯤이면 진정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ㅇ
일단 미국이 강달러 정책을 펼치고 있고
관세 문제 등 여러 악재들이 있는데
이런 점들이 해소가 되어야지 달러 환율도 안정을 취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단 한국의 정치적인 리스크가 진정되는 것이 필요하고, 시장 경기가 회복 추세를 보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미국의 강달러 정책이 계속되는 가운데 한국은 관세 정책으로 수출의 불확실성이 확대된다면 원화가치 하락이 가속화 될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달러 환율이 안정화를 되찾기 위해서는 미국의 트럼프 관세 정책이 철회되거나 완화되는 상황이 생기고, 우리나라 대선이 끝나고 대통령이 빠르게 경제를 안정화시키면 가능할 것이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