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보험

상해 보험

끝없이활기찬반달곰
끝없이활기찬반달곰

2년전 자폐진단 받았는데 보험들수있을까요?

인터넷 찾아보니 어느분은 된다고 하고

어느분은 고지의무때문에 안된다고 하는데

답답한 마음입니다.

현재 초3이고 초1 11월이니 딱 2년전에

대학 병원에서 검사 받고 자폐 진단을 받았습니다.

그후 병원은 안갔고 진단 받고 아동발달센터에서 치료 중입니다.

1 실비와 건강보험을 들수있을까요?

2 안된다면 자폐 진단을 받아서 안되는 걸까요

아니면 고지의무? 위반때문에 안되는 걸까요?

3 위반이라면 어느 부분이 문제되는 건지

4 그래도 들수있는 방법은 없는지 여쭤봅니다ㅜㅜ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지연 손해사정사입니다.

    음. 실손의료비는 가입이 어려워 보입니다. 가입전 진단된 부분으로 치료 보상되지 않고 질병코드 F는 일부에 한하여 실손의료비가 보상가능한데, 이 또한 시기별로 다릅니다.

    [참고]

    1. 고지의무

    https://www.a-ha.io/experts/columns/4bbf1d00ef897ef1a12e19b08d917801

    2. 정신과질환

    https://www.a-ha.io/experts/columns/442e956d713436709019b9160d31eb5f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장재영 보험전문가입니다.

    1. 고지사항에 문제 없을 시 가입 할 수 있습니다.

    여러가지 있겠지만 최소

    5년 이내 자폐관련 30일 이상 투약 / 7회 이상 치료 있으실까요?

    아동발달센터는 의사선생님 치료가 아닌 것으로 압니다.

    의사선생님의 치료 기준으로 확인 하시길 바랍니다.

    2. 위에 해당 사항 없으면 가입 됩니다.

    3,4. 계속 반복해서 이야기 드립니다.

    고지사항에 문제 없으면 가입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욱 보험전문가입니다.

    1. 보통 정신관련 질환은

    5년간의 통원횟수 및 약 복용 여부가 중요합니다.

    정신과 관련 의료기관이 아닌

    발달센터에서 단순히 행동교정 및 놀이 등의 발달치료만을 받는다면?

    고지할 대상은 아닙니다.

    다만 약물의 복용을 병행하고 있을 경우 이는

    고지에 해당되며 (합산 30일이상 처방 시) 표준체 실손의 가입은 어렵습니다.

    간편실손으로는 문제가 없고요.

    2, 3번 항목 모두 1번질문에 해당되느냐 안되느냐로 갈립니다.

    4. 간편 실손의료비에서는 문제 없이 가입이 가능합니다.

    현재 정확한 내용파악이 안되기에

    딱잘라 말씀드릴 순 없지만

    표준체 실손에서 가입이 가능하실 것으로 보이긴 합니다만

    정확한 상담이 필요하겠네요.

  • 안녕하세요. 안영근 보험전문가입니다.

    자폐 진단을 받은 경우 보험 가입은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실손이나 건강보험은 가입시 고지의무에 따라 과거 진단과 치료 이력을 반드시 알리도록 되어 있습니다. 자폐는 보험사에서 정신 및 행동장애로 분류되어 대부분의 일반 실비나 건강보험은 인수 제한 또는 가입 거절 대상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진단을 받아서 안되는 것이 맞으며 고지의무를 숨기면 추후 보험금 지급 거절이나 계약 해지 사유가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일부 보장 제한형 상품이나 유병자 전용보험, 아동 전문보장 상품 등에서는 가입이 가능한 경우도 있으니 보험사별 유병자/어린이 특화 상품을 문의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됐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1 실비와 건강보험을 들수있을까요?

    : 우선 실비와 건강보험 자체는 가입이 가능합니다. 다만, 자폐진단과 현재 치료에 대한 내용을 고지하고 보험사의 승인을 받아야 하니, 여러 보험사에 청약을 넣고 심사를 받아 보시기 바랍니다.

    2 안된다면 자폐 진단을 받아서 안되는 걸까요 아니면 고지의무? 위반때문에 안되는 걸까요?

    : 해당 사항은 고지대상으로 고지하고 보험사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3 위반이라면 어느 부분이 문제되는 건지

    : 해당 사항을 알리지 않고 가입할 경우에는 추후 보험사고 발생시 고지의무위반으로 보험계약이 강제 해지될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