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인덱스는 떨어지던데 환율 오르는 이유가 뭔가요??
달러인덱스는 계속해서 떨어지던데
환율은 오르면서 1400원 가까이 다시 도달했던데 이유가 뭔가요??
오히려 주식시장은 많이 올랐던 것 같더라구요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달러인덱스는 금리 인하 기대감 등으로 약세를 보이면서 떨어지고 있지만, 환율은 금리 격차, 무역 불균형, 지정학적인 리스크 등으로 상승 중에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달러인덱스의 경우 기축통화의 상대적인 가치라고 보실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은 미국달러, 파운드, 엔, 유로 등이 포함이 됩니다. 다만 이 중에서는 유로가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달러인덱스가 하락한다는 말은 달러의 가치가 하락한다는 의미로 달러인덱스가 하락하는데도 환율이 오르는 것은 그만큼 원화의 가치가 더 많이 하락하기 떄문에 상대적으로 상승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가장 큰 문제는 한국이 미국에게 투자를 하겠다고한 3500억달러에 대한 불확실성이 급격하게 커지고 있는게 문제인것입니다.
이번주 들어서 급격하게 환율이 상승을 보이는것도 3500억달러에 대해서 직접 현금으로 미국으로 송금하라는 이슈때문에 이는 외환보유고의 84%나 차지할정도로 매우 큰 상황이며 국내 경상수지 유입이 연간 300억달러 수준인데 이것만 보더라도 매우 큰 규모라는 점입니다. 거기다가 엊그제 새벽에 직접적으로 다시 언급하면서 이부분이 불확실로 커지면서 달러환율이 급격하게 치솟는 요인으로 작동하고 있는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달러 인덱스가 떨어짐에도 환율이 오르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현재 달러 환율이 오르는 것은 미국이 한국에 현금으로
3,500억원을 요구하고 있기에 그런 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달러인덱스는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달러가치를 나타내는 지표죠 원화는 포함이 안되어 있습니다
근래 국내 경기도 안 좋고 확장적 재정정책으로 원화가치가 하락한 상황이고 증시는 올해 정부정책으로 크게 올랐고 어제 오늘은 삼성전자가 분발해서 나쁘지 않은 상황이다라고 생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달러인덱스는 여러 통화 대비 달러 강세를 보지만, 원화는 별도의 대외 요인에 더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외국인 자금 유출, 무역수지 적자, 지정학적 리스크 등이 있으면 달러인덱스와 반대로 원달러 환율이 오를 수 있습니다.
즉, 원화만의 약세요인이 작용한 결과입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달러인덱스랑 원달러 환율이 꼭 같이 움직이지는 않더라구요. 달러인덱스는 여러 통화랑 비교한 거라서 유로나 엔화가 강세면 지수는 내려가도 원화는 따로 약세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시장은 외국인 투자 흐름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합니다. 제 생각에는 최근에 외국인들이 주식은 사면서도 환율 위험을 헷지하려고 달러 수요를 늘린 게 컸던 것 같아요.무역수지나 금리 차이도 환율에 영향을 주는 부분이라 단순히 달러인덱스만 보면 헷갈리기 쉽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달러 인덱스는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지표라 이게 떨어져도, 원/달러 환율은 미국 달러와 원화 딱 두 통화 간의 교환 비율이라 움직임이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달러가 엔화와 유로화 등 다른 통화들한테는 약세더라도, 우리나라만의 경제 상황이나 글로벌 불확실성 때문에 원화 대비 강세를 보일수도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