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떼쓰기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잘 다룰 수 있을까요?
4살 여아(첫쨰)를 키우고 있어요.
요즘 들어 아이가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면 바닥에 누워 울고 소리를 지르는 등 심하게 떼를 씁니다. 체벌을 하는 것은 단기적인 효과밖에 없을 것 같아 최대한 안하고 있습니다만, 어떻게 대응을 해야할지 항상 고민입니다.
딸아이의 감정을 존중하면서도 효과적으로 떼쓰기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4세 아이가 심하게 떼를 쓸 때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좋은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우선 아이의 마음을 충분히 공감해주는 것이 근본적으로 필요합니다.
아이가 떼를 쓸 때는 어떻게 대처할지 난감할 때가 많습니다.
또한 그런 상황에서는 어떤 말을 해도 통하지 않습니다.
어느정도의 원칙을 세워서 일관성 있게 훈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떼를 쓰고 우는 행동에 반응을 해주다보면 그 행동이 강화가 될 수도 있습니다.
아이의 감정을 공감하고 관찰한 상황을 말해줍니다.
그런 다음 상대방의 감정을 이야기해줍니다.
마지막으로 '다음부터는 원하는게 있을 때는 울거나 고집을 피우지 말고, 직접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였을 때 바닥에 드러누워 울고 소리를 지르면서 떼를 부리는 원인은
자신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 미숙하기 때문 입니다.
그렇기에 아이가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였을 때 떼를 부리고 울고 소리를 지른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소리를 지르거나 울거나 떼를 부리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이러한 행동을 하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을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잘 알려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뗴를쓴다면 기다려주시는것이 좋으며
아이가 진정된 이후에 이러한것에 대해서 훈육을 해주시고 단호하고 일관된 행동을 해주신다면 점차 줄어들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의 떼쓰기에 일관된 방식으로 대응하는 것이중요합니다 일관성이 없으면 아이는 반복적으로 떼를 써서 원하는것을 얻으려고 할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오늘은 떼를 쓰면 원하는 걸 주고 내일은 그렇지 않으면 아이는 혼란스러워합니다 일관성있게 반응하려면 떼쓰는 행동에 대해서 차분하고 단호하게 그러나 따뜻하게 반응해야합니다
아이에게 원하는 것을 주지 않겠다고 결정을 내리면 그 결정에 변하지 않도록해야합니다 단 이때 중요한 점은 아이에게 그 이유를 이해시키는 것입니다 "지금은 그걸 할 수 없어서 미안해 대신 다른 재미있는 것을 하자"와 같이아이가 왜 그 행동을 하지 못하는지 이해할수 있도록 설명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4살 아이의 떼쓰기를 다루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입니다. 아이는 이 나이에 자기 감정을 조절하는 법을 배우고 있기 때문에, 때로는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면 자기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떼를 쓸 수 있습니다. 중요한 점은, 떼쓰기를 다루는 방식이 아이의 감정과 욕구를 이해하면서도 동시에 효과적으로 교훈을 주는 것입니다.체벌을 피하려는 부모님의 접근은 정말 중요하고, 장기적으로 아이의 감정적 건강에 훨씬 도움이 됩니다. 체벌은 단기적으로 아이의 행동을 멈추게 할 수 있지만, 감정적 상처를 남기거나, 부모와 아이 사이의 신뢰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아이의 떼쓰기를 다루는 방법은 일관성, 공감, 긍정적 강화, 자율성 제공 등을 통해 아이가 감정을 건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또한 부모가 모델링을 통해 감정을 잘 다루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체벌보다는 대화와 규칙, 긍정적인 강화를 통해 아이는 점차 떼를 쓰는 대신 더 성숙한 감정 표현 방법을 배우게 될 것입니다. 시간이 좀 걸릴 수 있지만, 꾸준한 노력과 일관된 접근을 통해 아이는 점차 자신을 더 잘 이해하고 조절하는 법을 배우게 됩니다. 아이의 떼쓰기를 이렇게 효과적으로 다루어주시기를 바라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딸아이의 감정을 인정하고 공감하며 차분히 이유를 설명해 주세요. 떼를 쓸때는 무시하고 떼를 멈추면 긍정적인 행동에 집중해 칭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