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운좋은강아지172
운좋은강아지172

아이의 훈육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이네요ㅠㅠ

아이 학년이 올라갈수록 처벌을해야하나? 때려야하나? 혼을낼때 저의 욱하는 횟수가 점점 늘어납니다 이걸 어떻게 해야하나 고민입니다 ㅠㅠ 참는법이 있다면 고수님들의 고견을 듣고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아이를 훈육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마인드컨트롤을 하며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것이 좋겠습니다.

    잠시 숨을 들이 마시고 천천히 내쉬면 호흡을 가다듬는 것이 방법이라면 방법입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 우선적으로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ㅁㅁ와 같은 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민주적 권위형' 양육태도가 친구 같은 아빠(엄마) 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흔히 버릇이 나빠지지 않을까 염려할 수도 있습니다.

    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민주적 권위형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잘 수렴합니다.

    또 아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타이르는 방식으로 훈육합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자라는 아이는 정서 지능이 높아지고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하는 자율성과 판단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 훈육은 아이를 혼내는 것이 아니라 잘못된 행동을 알려주고 바른 행동으로 고쳐주기 위함입니다. 감정을 내세워 아이를 훈육하게 되면 아이는 불안감과 긴장감으로 인해 자존감이 낮아지고 부모와의 관계또한 멀어질수 있게 됩니다. 아이를 훈육할때는 감정적으로 대하거나 소리를 지르지 말고 일관된 방법으로 단호한 목소리로 해야 합니다. 또한 무작정 훈육을 하기보다는 규칙을 정해서 규칙안에서 행동할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 예전에는 훈육을 할떄 체벌을 많이 했습니다만 요즘의 육아 및 훈육의 패턴은 체벌의 가능하면 하지 않도록 한다고 합니다. 아이를 키우다 보면 화가 나는일이 많겠지만 이때 욱하는 모습을 보여주면 아이들에게도 악영향이 갈 수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화가 나더라도 절대적으로 참아주시고 일관된 표정과 행동을 보여주셔야 됩니다. 화가 난다면 잠시 자리를 피해서 화를 삭히는 한이 있더라도 욱하는 모습은 보여주지 않는게 좋다고 하니 주의 하시는게 좋겠습니다.

  • 훈육 이라고 함은 그 잘못된 부분을 짚어주고 바로 잡아주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체벌을 절대 하지 마시고, 말로써 부드럽게 타일러 주고 그 잘못된 부분을 아이가 이해하기 쉽게 설명을 해준다면 아이는 이해하고 받아들일 것입니다.

    그리고 부모님은 화를 내시기 보다는 욱 하는 감정을 다스리고 아이의 기분과 이해해 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아이와 대화 시 아이에게 왜 이러한 행동을 하였는지 그 이유를 물어봐 주세요.

    아이가 이야기를 시작하면 아이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 경청하여 주시고, 아이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아이의 마음을 이해해 주셔야 합니다. 아이의 이야기가 다 끝나면 아이의 감정을 충분히 공감 하신 후에 서는 이렇고 후는 이렇다 라고 하면서 아이의 잘못을 짚어주신 후에 부모님의 생각을 전달하시면 되겠습니다.

  • 체벌과 때려서 말을 듣게 하는 것은 역효과가 더욱 심해집니다. 지금 당장 강압적이고 힘에 의한 억제가 가능 할 지 몰라도 부모자식간의 신뢰관계나 애착형성에 큰 손실을 입을 것으로 생각 됩니다. 참고 대화하고 가정내의 회의를 통해 규칙을 정한다든지 최대한 민주적인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아이의 반발도 덜할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훈육이라는 건 일정한 기준과 일관성이 있어야 합니다. 아이가 똑같은 잘못을 했는데도 어느 날에는 부모가 기분이 좋아서 아이에게 웃으면서 대해주고 괜찮다고 말해 버리게 된다든지, 어느 날에는 부모가 기분이 좋지 않아서 똑같은 잘못을 했는데 아이에게 화를 내고, 소리를 지르고, 윽박지르고 신경질적인 반응을 부린다던지 이처럼 일관되지 못한 훈육을 하게 되면 아이는 가치관에 혼란을 가져오게 됩니다. 그리고 훈육을 할 때에는 화를 내거나 체벌을 가한다든지 하게되면 아이는 자신의 잘못에 대해 반성하고 생각하기보다는 부모가 나에게 화를 내고 있고 나는 사랑받고 있지 못하구나라고 느낀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부모님들도 항상 마인드 컨트롤을 잘 하셔야 하고 머릿속에 아이가 어떠한 잘못을 했을 때 나의 대처 모습을 그려가며 마음을 다스리는 연습을 하셔야 합니다. 특별한 방법이나 비법이 있는 게 아닙니다. 부모님들도 사람이기 때문에 자신의 마음은 자신이 스스로 잘 통제하고 다스릴 수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