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천연기념물 황조롱이
천연기념물 황조롱이22.12.11

겨울철 얼어있는 물속 물고기는 어떻게 살수 있죠?

'나는 자연인이다.'에서 한겨울 얼음이 꽁꽁 얼어있는 강물의 얼음을 깨고 바위를 쳐서 떠오르는 물고기를 잡는 것을 자주 봤는데...

한겨울 물고기들은 얼어있는 얼음 밑에서 어떻게 살아가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11

    물고기들은 추운겨울이 되어 수온이 낮고 먹이가 부족하게 되면 생존이 힘들게 되므로,

    살기위해 활동을 최소화하고 물속아래 뻘밑, 모래밑, 돌틈 등으로 들어가 겨울잠을 잡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강이나 호수 표면에 두꺼운 얼음은 오히려 얼음 아래 물이 따뜻할 수 있도록 단열보온효과을 줍니다.

    그렇다고 해도 말씀대로 물의 온도가 4도정도 차가운데 어떻게 살아남을까..??

    물고기는 변온동물에 속합니다. 변온동물은 일정한 체열을 유지하기 위해 에너지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항온 동물들에 비해 먹이를 거의 먹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때문에 겨울이 되면 물고기는 외부온도에 맞춰 활동량을 최소화하고 먹이활동도 최소화하여 겨울을 날 수 있는 것이죠.


  • 물의 밀도와 얼음의 밀도로 차이 때문에 물고기가 겨울에도 살 수 있습니다.

    물은 4도 온도에서 밀도가 가장 무겁습니다.

    즉, 4도의 물은 밑으로 가라앉게 되고 더 차가운 물(얼음이 되려는 물)은 올라오게 되어 순환이 이루어집니다.

    그러다가 물의 표면이 얼더라도 얼음 아래의 온도는 4도에 가까울 것이므로,

    물고기는 아직 안전하게 살 수 있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은 수면 위부터 얼어가기 때문에, 수면 아래는 얼어있지 않아서 그 물속에 물고기가 살아간답니다^^


  • 물보다 밀도가 작아진 얼음은 물 위에 뜨게 되는 것입니다. 겨울에 기온이 영하로 떨어져 호수의 물이 얼어도, 얼음은 호수 바닥으로 가라 앉지 않고 호수 표면에 뜹니다. 또한, 표면의 얼음이 영하의 찬 공기를 막아 주므로 일종의 단열 보온효과로 인해 오히려 얼음 아래의 물에서 물고기들은 얼지 않고 잘 살 수 있는 것입니다.

    출처 : https://itfix.tistory.com/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