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엄마만 유독 좋아하는 아이들도 있나요?!!

유독 애착이 엄마한테만 있는 경우도 있나요? 주말부부도 아니었고, 함께 키워왔음에도 불구하고, 딸 아이가 유독 엄마만 좋아하는데, 누구와 애착이 있던 안정적이면 상관 없는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유독 엄마에게 집착하고 엄마에게 애착이 강한 이유는

    엄마와 함께 한 시간이 길어서 일 것입니다.

    즉, 엄마가 주 양육자로써의 역할이 더 많았다고 하면 애착이 많은 사람은 엄마 입니다.

    아이는 애착의 끌림이 어느 정도 길었느냐, 어느 정도 함께 했느냐에 따라 정서적 안정감을 느끼고 그 사람을

    따르는 부분이 큽니다.

    아이가 아빠와 애착이 부족하다 라면 아이에게 엄마 못지 않게 사랑하고 관심을 두고 애정을 쏟고 있다 라는 것을

    언어로 행동으로 자주 표현해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가 직접 피부로 느낄 수 있도록 말이지요.

  •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엄마에게만 강한 애착이있단느건 아빠와 유대관계가 없어석서그래요 초등학생이되거나 유아기를 벗어난다면 어린시절 아빠와 공감이나 감정교류를 통해서 아빠와 더친밀하게 된답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네, 아이가 특정 부모, 특히 엄마에게 유독 애착을 보이는 경우는 흔합니다. 애착 형성은 양육자의 반응성과 아이의 성향에 따라 달라집니다. 주 양육자가 엄마였거나 아이가 안정감을 엄마에게서 더 크게 느끼면 이런 현상이 생깁니다. 애착이 안정적이라면 아빠와의 관계도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깊어질수 있으니 걱정마세요

  • 안녕하세요.

    네, 엄마에게만 유독 애착을 보이는 아이들도 충분히 있을 수 있습니다.

    아이마다 기질과 경험, 일상에서의 상호작용 방식에 따라 애착 대상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아빠가 헌신적으로 양육에 참여했다고 하더라도 아이는 익숙한 반응을 주는 쪽에 더 끌릴 수 있어요.

    주요한 건 누구에게가 아니라 애착이 안정적인가, 에 초점을 두어야 해요.

    안정적인 애착은 아이의 정서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엄마에게만 애착이 있더라도 문제는 아닙니다.

    다만, 아빠와의 유대도 서서히 확장될 수 있도록 자연스럽게 시간을 함께 보내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