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고환율은 일부러 유지하는 것인가요?

현재 원달러 환율을 보면 굉장히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달러인덱스는 오히려 내려간 상황인데 고환율은 일부러 유지하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고환율을 의도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아니지만, 정부나 중앙은행이 환율 안정화를 위한 시장 개입에 소극적일 때가 있습니다. 이는 수출 경쟁력 강화와 같은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때문입니다. 고환율은 수출 기업에게 매우 유리합니다. 원/달러 환율이 높으면, 해외 시장에서 같은 가격에 물건을 팔아도 국내로 들여오는 원화가 많아져 수익성이 높아집니다. 예를 들어, 1달러짜리 제품을 팔았을 때, 환율이 1200원이면 1200원을 벌지만, 1400원이면 1400원을 벌게 되는 것입니다. 고환율은 정부가 직접적으로 유지하는 것이라기보다는, 글로벌 경제 상황과 한국의 경제적 펀더멘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결과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고환율은 일부러 유지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환율엗 결국 시장의 원리가 적용됩니다.

    정부가 어느 정도 개입할 순 있지만

    고환율을 일부러 유지하는 것은 아닐 것입니다.

  • 고환율은 단순히 시장 상황 뿐만아니라 수출 경쟁력 유지, 외환시장 안정 등 정책적 요인도 작용할 수 있습니다. 달러인덱스가 하락해도 우리나라의 무역수지, 외국인 투자 흐름, 지정학적 리스크가 환율에 영향을 줍니다. 일부로 유지한다기 보다는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환율이 높은 수준에서 머무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로서는 미국과 중국의 시장 구조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달러 인덱스 하락에도 환율이 높게 유지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이 인위적으로 고환율을 유지하고 있는게 아닙니다. 한국이 인위적으로 개입하면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어서 바로 엄청난제재를 맞게 됩니다.

    이는 인위적으로 조종하고 있는게 아니라 그동안 한국과 그리고 기업들이 그리고 주요 금융기관들이 해외로의 투자가 크게 증가하면서 자본수지 대규모로 적자가 누적되고 있는게 원인이며 거기다가 한국의 미국으로의 대규모 투자를 하게되면서 대규모 자본이 유출이되고 미국의 달러를 사야되면서 원화가치가 근본적으로 하락하는게 문제이며 거기다가 한국은 24년도와 올해 일본만큼 저성장을 보이고 있고 미국은 3~4%대로의 고성장으로 이런 실물성장 자체로의 차이를 보이면서 한국의 원화가치가 근본적으로 하락하고 있는게 문제입니다

    거기다가 국내의 주요 대기업들이 수출로 벌어들인돈을 한국으로 송환을 하지 않고 오히려 원화를 위험자산으로 보면서 원화가치가 쉽게 내려가지 않은게 원인입니다. 거기다가 미국과 한국의 금리차이가 역대 최고로 벌어지는것도 원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달러인덱스가 내려갔는데도 원달러 환율이 높은 이유는 한국 경제 상황이나 미국과 우리나라의 금리 차이 때문에 원화가치 하락 압력이 계속되기 때문입니다. 미국이 여전히 높은 금리를 유지하니까 투자자들이 달러 자산을 선호하게 되고, 우리나라 경제에 대한 우려도 발생하면서 달러가 강세로 느껴지는 것입니다. 시장의 급격한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 외환 당국이 조심스럽게 개입할 수는 있지만, 시장의 다양한 힘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지금의 환율을 만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달러인덱스는 내려갔다고 하지만 우리나라 원화가 약세를 보이는 건 미국 금리 수준이 여전히 높고 신흥국 통화 중 원화가 변동성 크다고들 합니다. 시장에서는 정부가 수출기업 지원 차원에서 환율을 어느 정도 용인하는 게 아니냐는 말도 있습니다.정책적으로 환율을 억지로 끌어올린다기보다 글로벌 투자자금 흐름이 달러 쪽으로 쏠리면서 자연스럽게 높아진 영향이 더 커 보입니다.